◐ 일주막전(一籌莫展/一筹莫展) ◑ yī chóu mò zhǎn

▶ 하나 일(一) 계책 주(筹) 없을 막(莫) 펼 전(展)

▶ 한 가지 방법도 생각해 내지 못하다. 아무런 방법도 없다. 속수무책이다. 筹:计策;办法;展:施展。一点计策也施展不出;一点办法也想不出来。 not a single plan proposed

一筹莫展和“束手无策”;都有“拿不出什么办法”的意思。但“束手无策”语义重;较形象 ;一筹莫展指想不出办法来对付。

여기서 "筹"는 산가지라는 뜻이다. 옛날에 셈을 세는데 썼다. 계책이나 계획을 비유한다. 산가지 하나도 쥐여놓지 못한다는 말로서 아무런 계책도 내놓지 못함을 비겨이른다. 

써볼만한 계책이 하나도 없다, 속수무책이다, 어찌할 도리가 없다는 뜻으로 사용되는 성구이다. 
 
▶ 남송(南宋) 효종(孝宗) 10년 (기원 1173년), 온주(温州) 의 서안(瑞安)에 살고 있던 채유학(蔡幼学)은 열여덟 어린 나이에 조정의 회시(会试)에 급제하여 당시 제일 나이가 어린 진사(进士)가 되었다. 

이때쯤, 남송은 이미 조정의 법률과 기율이 쇠퇴해지고 나라의 운명이 매우 위태로운 시기에 처해있었다. 특히 황제의 친척과 매국노들이 조정의 정권을 장악하고 온갖 나쁜 짓을 저질렀으나 사람들은 분노하면서도 대놓고 말은 못했다. 그때 재상으로 있던 장설(张说)이 바로 효종황제의 친척이었는데 그는 자기의 직위를 믿고 함부로 행동하기 일쑤였다. 부재상(副宰相)으로 있던 허윤문(虚允文)과 량극가(梁克家)는 장설의 권세에 두려움을 느끼고 자신의 생각을 함부로 전하지 못했다. 이런 상황이 계속되면서 조정의 정무는 완전히 장설 한사람이 장악하게 되었고 정치의 부패는 이미 수습할 수 없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일찍부터 조정의 이러한 현상들을 전해들은 채유학은 격분하면서도 초조한 마음을 감추지 못하고 효종황제에게 조정의 실수를 비판하는 상서를 올렸다. 

상서내용은 재상인 장설의 권세가 지나쳐 도리가 지나친 행동들을 하고있으니 징벌을 받아 마땅하다는 내용이었다. 상서문을 읽고난 효종황제는 조정에 들어온지 얼마 안되는 어린 진사가 함부로 조정을 비판한다는 생각이 들어 매우 언짢았다. 이 말을 전해들은 장설 역시 화가 머리끝까지 치밀어올라 채유학을 강직(降职)에 처했다. 

그해, 효종황제가 돌아가자 송녕종(宋宁宗)이 직위를 계승했다. 조정의 법률과 기율을 다시 바로잡으려고 결심한 송녕종은 조정에 대해 누구나 자신의 의견을 말해보라고 명령을 내렸다. 

오래동안 감정을 억제해왔던 채유학은 그 말을 듣고 매우 기뻐하며 황제에게 상서를 올렸다. 

"폐하께서 현명한 군주가 되고싶다면 반드시 세가지 점을 명기해야 할것이옵니다. 첫째는 부모에게 효도하고 둘째는 재능있는 인재를 등용하여 관직을 맡게할 것이며 셋째는 세수를 가감하고 백성들에 대해 너그러운 법을 제정해야 할 것이옵니다. 이 세가지를 잘 해내려면 교화(教化)를 널리 알리는 것을 중요시해야 할 것이옵니다. 그동안 여러방면에서 훌륭한 인재들을 배척하려는 자들이 여론을 퍼뜨리고 다녔기에 조정을 위해 힘을 보태고저 하던 사람들도 행여 시비를 야기하여 불화를 당할까 두려워 나서지 못했던 것으로 알고있사옵니다. 조정에는 학문에 뛰어난 사람들이 적지 않으나 쉽게 자신의 의견들을 말하려 들지 않을 것이오니 이런 상황에서 교육을 보급시켜 인재를 뽑지 아니한다면 어찌 사람들의 정신을 진작시킬 수 있겠사옵니까?" 

채유학의 상서를 몇번이나 훑어본 녕종황제는 채유학의 학식이나 인품, 그리고 조정에 대한 충성심을 엿보고 내심 흐뭇해했다. 그래서 채유학의 관직을 다시 올려놓으려 했으나 재상 한규위(韩虬胃)의 극구 반대를 받았다. 한규위 역시 재능있는 사람들에 대해서는 질투가 심했고 자기와 다른 생각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매우 싫어했다. 

결국 채유학은 서울을 떠날수밖에 없었다. 

"一筹莫展"은 바로 이 성구에서 유래된 말로서 속수무책이란 뜻으로 사용되고 있다. 

 ▶ 据《宋史·蔡幼学传》记载,蔡幼学,字行之,南宋温州瑞安人,自幼刻苦学习,曾拜当时名士张傅良为师。据说他后来青出于蓝胜于蓝,才学和文章都在他的老师之上。宋光宗时,曾任校书郎。后来,宋光宗去世,宋宁宗即位。宋宁宗即位之初,下一道诏书征求群臣的意见。蔡幼学上了一道奏章说:

  “陛下,您得做好以下三件事,才能称得上是一个好皇帝。一要恭亲,对父母长辈孝顺;二要重贤,任用有真才实学的人为官;三要爱民,对天下百姓要宽厚仁爱。而要做到这三件事,首先得从搞好教育入手。但是,近些年来,有那么一些人到处造谣诬陷好人,致使一些大臣害怕招惹是非而不能好好地施展自己的才能,也使您接触不到大多数有抱负的臣子。朝廷里有才学的大臣虽然不少,但真正有实际作用的办法却没有拿出来。”即“多士盈庭而一筹莫吐。”

  “陛下,如果再不重视教育,鼓励讲学,树立良好的学习风气,后果将不堪设想。望陛下三思。”人们根据以上故事把“一筹不吐”引申成“一筹莫展”这个成语,比喻束手无策,无法可想。

[출전] 《宋史 蔡幼学传》:“多士盈庭而一筹不吐。”

[동의어] 속수무책(束手无策), 속수대폐(束手待毙)

[반의어] 신통광대(神通广大), 대현신수(大显身手), 대현신통(大显神通)




※) 20200522_youtube.jpg 사자성어 성어TV성어낭독, 성어퀴즈



한국 Korea Tour in Subkorea.com Road, Islands, Mountains, Tour Place, Beach, Festival, University, Golf Course, Stadium, History Place, Natural Monument, Paintings, Pottery, K-jokes, UNESCO Heritage, 중국 Chin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J-Cartoons, 일본 Japan Tour in Subkorea.com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E-jokes, 인도 Indi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UNESCO Heritage, Tour Place,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Pain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