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삼모사(朝三暮四) ◑ zhāo sān mù sì

▶ 朝 아침 조. 三 석 삼. 暮 저물 모. 四 넉 사. 

조사모삼(朝四暮三). 도토리를 아침에는 세 개 저녁에는 네 개 준다. 똑같은 것을 가지고 어리석은 자를 우롱하는 임시변통의 사기술, 간사한 꾀로 남을 속여 희롱함을 이르는 말. 잔꾀로써 사람을 놀리는 것을 일컬어 조삼모사라고 한다.간사한 꾀로 남을 꾀어넘김을 비겨일었으나 후에는 변덕이 많음을 비겨이르게 되었다. 간사한 꾀로 남을 농락하다, 변덕이 많다, 조삼모사 등으로 번역 사용된다. 原比喻使用诈术;进行欺骗。后比喻经常变卦;反复无常。 change one's mind frequently

朝三暮四和“번운부우翻云覆雨”都可形容反复无常。但“翻云覆雨”偏重指人与人之间的相处反复无常;毫无节操;贬斥的程度较朝三暮四重。朝三暮四多指规章制度等经常变更;叫人无所适从。而且不仅可指人与人之间的相处;也可指人对工作和学习的态度。

▶ 송(宋)나라에 저공(狙公)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저(狙)'란 원숭이를 뜻한다. 그 이름이 말해 주듯이 저공은 많은 원숭이를 기르고 있었는데 그는 가족의 양식까지 퍼다 먹일 정도로 원숭이를 좋아했다.

그래서 원숭이들은 저공을 따랐고 마음까지 알았다고 한다. 그런데 워낙 많은 원숭이를 기르다 보니 먹이를 대는 일이 날로 어려워졌다.

그래서 저공은 원숭이에게 나누어 줄 먹이를 줄이기로 했다.

그러나 먹이를 줄이면 원숭이들이 자기를 싫어할 것 같아 그는 우선 원숭이들 에게 이렇게 말했다.

"너희들에게 나누어 주는 도토리를 앞으로는 '아침에 세 개, 저녁에 네 개 (朝三暮四)'씩 줄 생각인데 어떠냐?"

그러자 원숭이들은 한결같이 화를 내었다.

'아침에 도토리 세 개로는 배가 고프다'는 불만임을 안 저공은 '됐다' 싶어 이번에는 이렇게 말했다.

"그럼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朝四暮三)'씩 주마."

그러자 원숭이들은 모두 기뻐했다고 한다.

宋有狙公者 愛狙養之成群 能解狙之意 狙亦得心之心損其家口 充狙之欲 俄而?焉 將限其食 恐重狙之不訓於己也 先?之曰 與若?朝三而暮四足乎 衆狙皆起而怒 俄而曰 與若? 朝四而 暮三 足乎 衆狙皆伏而喜.

[출전] '열자(列子)' 黃帝篇 / '장자(莊子)' 齊物篇

▶ [준말] 조삼(朝三)

▶ [동의어] 조사모삼(朝四暮三)

▶ 전국시대(戰國時代: B.C. 475년 ~ B.C. 221년)의 철학자였던 장자(莊子)는 그의 저서 중에 재미가 있으면서 또한 의미까지 깊은 수많은 우화 고사를 실었는데 이 조삼모사(朝三暮四)도 그 중의 하나이다. 

이 고사는 다음과 같다. 옛날에 송(宋)나라에 한 노인이 살았는데 그는 원숭이를 좋아하여 집에서 원숭이를 길렀다. 시간이 오래 흐르면서 그의 집에는 원숭이가 점점 더 많아졌고, 마침내 하나의 큰 무리를 이루게 되었다.원숭이는 움직이기를 좋아하여 그들을 돌보기 위해 이 노인은 상당히 많은 시간을 허비하게 되었다. 노인은 매일같이 원숭이와 함께 있었기 때문에 이 원숭이들의 습성과 기질을 너무나 잘 알게 되었다. 그는 원숭이들이 내는 소리와 하는 동작만 보고서도 원숭이들의 생각을 이해할 수 있었을 뿐만 아니라 원숭이들도 또한 그의 말을 알아 들을 수가 있었다. 

그런데 이 거대한 무리의 원숭이를 기르기 위해서는 매일 엄청난 먹이를 제공해야만 하였는데 이 노인은 차라리 식구들이 먹는 음식을 줄일지언정 원숭이들의 식욕은 만족시켜 주었다. 그렇지만 다시 한 동안 시간이 흘러가면서 원숭이의 숫자가 이제는 정말로 너무나 많아졌기 때문에 음식이 점점 모라자게 되었다. 그래서 노인은 원숭이들이 하루에 먹는 먹이의 양을 제한하고도 싶었지만 원숭이들의 기질을 너무나 잘 알고 있었으므로 그들이 나중에 다시는 자신을 따르지 않게 될까봐 걱정이 되었다. 하여 그는 원숭이들과 의논을 하게 되었다. "지금 우리 집에 먹이가 얼마 남지 않았다. 그래서 오늘 이후부터는 매일 아침마다 너희들에게 도토리 세알를 주고 저녁에는 네 알을 주려고 하는데 너희들 생각에 그것으로 충분하겠니?"라고 물었다. 

그런데 그 이전에는 원숭이 한마리에게 매일 아침과 저녁에 모두 네 알의 도토리가 배당될 수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원숭이들은 아침에 겨우 세 알의 도토리만 배당되어 먹이가 적어진 것을 알고는 모두 매우 화가 난 나머지 날뛰기도 하고 소리도 지르면서 성질을 부리기 시작하였다. 그러자 이 노인은 상황이 매우 심상치 않은 것을 보고는 서둘러 그들을 위로하면서 그들에게 먹이를 더 주겠다고 승낙을 하였고, 그제서야 원숭이들은 겨우 조용해졌다. 그래서 이 노인은 "그럼 오늘 이후부터는 매일 아침마다 너희들에게 네 알의 도토리를 주고 저녁에는 세 알을 줄 것이다. 이렇게 하면 충분하겠지?"라고 선포하였다. 

그러자 원숭이들은 아침의 도토리가 세 알에서 다시 네 알이 된 것을 듣고서는 그들에게 배당되는 먹이가 늘어난 것으로 생각하였다. 그래서 그들은 모두 너무나 기뻐서 땅 위에 엎드리기도 하고 손톱을 내밀기도 하며 노인이 그들에게 도토리를 나눠주기만을 기다렸다. 

장자가 자신의 저서에 이 고사를 실은 이유는 바로 이 노인이 원숭이를 우롱했던 속임수를 폭로한 것이다. 사실 도토리의 전체 숫자에는 조금도 변함이 없고 단지 분배하는 방식이 조금 변하면서 원숭이들은 분노에서 기쁨으로 바뀔 수가 있었다. 그래서 장자는 이 고사로써 누구나 실질적인 일을 보다 중시해야지 교묘한 말에 속임을 당하거나 해서는 안 된다고 경계를 하였다.후세 사람들은 이 고사성어를 사용하여 변덕스럽고 항상 갑작스레 생각을 바꾸군 하는 그러한 사람들을 비판하기도 하였다. 

①당장 눈앞에 나타나는 차별만을 알고 그 결과가 같음을 모름의 비유
②간사한 꾀를 써서 남을 속임을 이르는 말

▶ 战国时代,宋国有一个养猴子的老人,他在家中的院子里养了许多猴子。日子一久,这个老人和猴子竟然能沟通讲话了。

  这个老人每天早晚都分别给每只猴子四颗栗子。几年之后,老人的经济越来越不充裕了,而猴子的数目却越来越多,所以他就想把每天的栗子由八颗改为七颗,于是他就和猴子们商量说:“从今天开始,我每天早上给你们三颗粟子,晚上还是照常给你们四颗栗子,不知道你们同不同意?”

  猴子们听了,都认为早上怎么少了一个?于是一个个就开始吱吱大叫,而且还到处跳来跳去,好像非常不愿意似的。

  老人一看到这个情形,连忙改口说:“那么我早上给你们四颗,晚上再给你们三颗,这样该可以了吧?”

  猴子们听了,以为早上的粟子已经由三个变成四个,跟以前一样,就高兴地在地上翻滚起来。

[출전] 庄周《庄子 齐物论》:“狙公赋芧,曰:‘朝三而暮四。’众狙皆怒。曰:‘然则朝四而暮三。’众狙皆悦。”

[동의어] 조진모초(朝秦暮楚), 반복무상(反复无常)

[반의어] 묵수성규(墨守成规), 일성부변(一成不变)




※) 20200522_youtube.jpg 사자성어 성어TV성어낭독, 성어퀴즈



한국 Korea Tour in Subkorea.com Road, Islands, Mountains, Tour Place, Beach, Festival, University, Golf Course, Stadium, History Place, Natural Monument, Paintings, Pottery, K-jokes, UNESCO Heritage, 중국 Chin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J-Cartoons, 일본 Japan Tour in Subkorea.com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E-jokes, 인도 Indi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UNESCO Heritage, Tour Place,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Pain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