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문제풀이
-----Update_order
-----readed_count
한문.영문 삼국지소설
50개의 사자성어 요약 중급18탄 무호동중이작호(無虎洞中狸作虎) 등등 035 ▶ 무호동중이작호 (無虎洞中狸作虎) 범이 없는 곳에서는 너구리가 범 노릇을 한다는 말로, 못난 사람만 있는 곳에서 잘난 체하는 못난 사람을 비유. ▶ 무후위대 (無後爲大) 불효 중에서 가장 큰 것으로 자손이 없는 것을 말함. ▶ 묵수 (墨守) 묵자가 끝까지 성을 지킨다는 말로 자기의 의견 또는 소신을 굽힘이 없이 끝까지 지키는 것. == 묵적지수(墨翟之守) ▶ 문경지교 (刎頸之交) 목이 잘리는 한이 있어도 마음을 변치 않고 사귀는 친한 사이 ▶ 문과수비 (文過遂非) 그릇된 허물을 숨기고 뉘우치지 않음. == 문과식비(文過飾非) 030 ▶ 문무숭상(文武崇尙) : 학문과 무예를 다같이 높이어 숭상함. ▶ 문방사우 (文房四友) 서재에 꼭 있어야 할 네 벗, 즉 종이, 붓, 벼루, 먹을 말함. ▶ 문외가설작라 (門外可設雀羅) 문밖에 새그물을 쳐 놓을 만큼 손님들의 발길이 끊어짐을 말함 ▶ 문외한 (門外漢) 그 일에 관계없거나 전문가가 아닌 사람. ▶ 문일지십 (聞一之十) 한 가지를 들으매 열 가지를 앎. 총명하고 슬기가 뛰어남. 025 ▶ 문전걸식 (門前乞食) 남의 문 앞에 가서 빌어먹음. ▶ 문전성시 (門前成市) 권세가 크거나 부자가 되어 집문 앞이 찾아오는 손님들로 마치 시장을 이룬 것 같음. == 문정약시(門庭若市) ▶ 문전옥답 (門前沃畓) 집 앞 가까이에 있는 좋은 논, 곧 많은 재산을 일컫는 말 ▶ 문전걸식 (門前乞食) 집집이 돌아다니며 밥을 구걸함. ▶ 문정약시 (門庭若市) 대문 안뜰이 시장과 같다는 뜻. 집안에 출입하는 사람이 많음을 비유한 말. 020 ▶ 문즉병불문즉약 (聞則病,不聞則藥)들으면 병이요, 못 들으면 약이다. ▶ 물각유주 (物各有主) 무슨 물건이나 그것을 가질 사람은 따로 있다는 말. ▶ 물경지교 (勿頸之交) 목을 찍어도 한이 없으리 만치 친밀한 사이 ▶ 물망재거 (勿忘在莒) 부귀 영달할 때일수록 교만하지 말고 과거에 고난을 겪던 역정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말. ▶ 물색비류(物色比類) 같은 것을 비교해서 목적한 것을 찾아 구하는 것. 015 ▶ 물심일여 (物心一如) 마음과 형체가 구분됨이 없이 하나로 일치한 상태 ▶ 물실호기 (勿失好機) 좋은 기회를 놓치지 않음. ▶ 물외한인 (物外閒人) 세상의 시끄러움에서 벗어나 한가하게 지내는 사람 ▶ 물환성이 (物換星移) 만물이 변하고 별자리가 옮겨졌다는 뜻으로 세월이 많이 흘렀다는 뜻 ▶ 미망인 (未亡人) 과부. 010 ▶ 미봉 (彌縫) 터진 옷을 임시로 얽어맨다는 것으로, 임시변통으로 순간을 모면하는 것. == 미봉책(彌縫策) ▶ 미불유초선극유종 (靡不有初鮮克有終) 처음 시작할 때는 누구나가 성공을 결심하고 열심히 하게 되지만, 끝까지 그 결심이 누그러지는 일이 없게 계속하는 사람은 적다는 뜻. ▶ 미사여구 (美辭麗句) 아름다운 말과 고운 글귀. ▶ 미생지신 (尾生之信) 융통성이 없이 약속만을 굳게 지킴, 또는 신의가 굳음 비유. ▶ 미소망상 (微小妄想) 자시 자신을 과소평가하는 망상, 죄업(罪業)망상, 빈곤(貧困)망상, 심기(心氣)마상 등이 이에 속함. 005 ▶ 미연지전 (未然之前) 아직 그렇게 되지 아니함 ▶ 미인박명 (美人薄命) 미인은 흔히 불행하거나 병약하여 요절하는 일이 많다는 말 ▶ 미풍양속 (美風良俗) 아름답고 좋은 풍속. ▶ 민고민지 (民膏民脂) 백성이 피와 땀( 백성들에게 받아 거둔 돈을 말함) ▶ 민첩혜일 (敏捷慧黠) 눈치 빠르고 약삭빠름 [어휘력 기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