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문제풀이
-----Update_order
-----readed_count
한문.영문 삼국지소설
50개의 사자성어 요약 중급10탄 낙담상혼(落膽喪魂) 등등 050 ▶ 낙담상혼 (落膽喪魂) 몹시 놀라 정신이 없음. ▶ 낙락장송 (落落長松) 가지가 축 늘어진 큰 소나무. ▶ 낙목한천 (落木寒天) 나뭇잎이 다 떨어지고 날씨가 추움 ▶ 낙미지액 (落眉之厄) 눈썹에 떨어진 재앙이라는 뜻이니 갑자기 닥친 재앙이라는 뜻. ▶ 낙백 (落魄) 넋이 달아났다는 말. 모든 일이 뜻 데로 되지 않아 형편이 말이 아닌 그런 상태를 말함. 045 ▶ 낙월옥양 (落月屋梁) 벗을 꿈속에서 만나 즐기다가 꿈을 깨니 벗은 간 데 없고 지붕위에 싸늘한 달빛만이 흩어져 있는 처량한 광경을 뜻함. ▶ 낙정하석 (落穽下石) 우물에 빠진 자에게 돌을 던진다. 남의 환난(患亂)에 다시 위해(危害)를 준다는 말. ▶ 낙조토홍 (落照吐紅) 저녁 햇빛이 붉은 색을 토해 냄. 매우 붉은 석양(夕陽)을 뜻함. ▶ 낙화난상지 (洛花難上枝) 한 번 떨어진 꽃은 다시 가지에 오르기 어렵다는 말로, 이미 그릇된 일은 다시 수습할 도리가 없다는 뜻. ▶ 낙화생풍 (落花生風) 다한 영화를 다시 일으킴. 040 ▶ 낙화유수 (落花流水) 떨어지는 꽃과 흐르는 물, 남녀 간의 그리운 심정 ▶ 난공불락 (難攻不落) 공격하기가 어려워 쉽사리 함락되지 않음 ▶ 난득지물 (難得之物) 매우 얻기 어려운 물건. ▶ 난사필작이 (難事必作易) 어려운 일은 쉬운 일에서 일어난다는 말로써 쉬운 일을 신중히 하면 어려운 일이 생기지 않는다는 말. ▶ 난상공론 (爛商公論) 여러 사람들이 잘 의논 함. 035 ▶ 난상지목불가앙 (難上之木不可仰) 오르지 못할 나무는 쳐다보지도 말라. 될 수 없는 일이라면 바라지도 말라는 뜻이다. ▶ 난상토의 (爛商討議) 낱낱이 들어 잘 토의함 ▶ 난신적자(亂臣賊子) 임금을 죽이고 어버이를 해하는 자. 나라를 어지럽게 하는 신하와 불충불효한 자식 ▶ 난원계친 (蘭怨桂親) 사람이 세상에 태어나고 숨는 데 따라 형세가 다른 것을 비유 ▶ 난의포식 (暖衣飽食) 따뜻한 옷을 입고 음식을 배불리 먹어 생활에 부자유스러움이 없는 것. 030 ▶ 난중지난 (難中之難) 어려운 일 가운데서도 가장 어려운 일. 몹시 어려운 일을 뜻함. ▶ 난형난제 (難兄難弟) 어느 것이 낫고 어느 것이 못하다고 할 수 없음. == 막상막하(莫上莫下), 백중지세(伯仲之勢) ▶ 난화지민 (難化之民) 교화(敎化)하기 어려운 백성을 말함. == 난화지맹(難化之氓) ▶ 날이불치 (涅而不緇) 검은 빛에 물을 들이려 해도 물들지 않는다는 뜻으로, 군자는 악에 물들지 않는다는 말. ▶ 남가일몽 (南柯一夢) 꿈과 같이 헛된 한때의 헛된 부귀영화 == 일장춘몽(一場春夢), 한단지몽(邯鄲之夢), 일취지몽( 一炊之夢), 황량지몽( 黃梁之夢) 025 http://www.subkorea.com/xe/gosa ▶ 남귤북지 (南橘北枳) 강남에 심은 귤을 강북에 심으면 탱자가 된다. 기후와 풍토가 다르면 모양과 성질이 달라진다는 뜻.(환경의 중요성) ▶ 남녀노소 (男女老少) 남자와 여자, 늙은이와 젊은이. 모든 사람. ▶ 남부여대 (男負女戴) 남자는 지고 여자는 인다. 가난에 시달린 사람들이 살 곳을 찾아 떠돌아다니며 사는 것을 말함.(평범한 사람) ▶ 남상 (濫觴) 큰 강물도 첫 물줄기는 겨우 술잔에 넘칠 정도의 적은 물이라는 것으로, 사물의 시초나 근원을 뜻함. == 효시(嚆矢), 권여(權與), 비조(鼻祖) ▶ 남선북마 (南船北馬) 바쁘게 여기저기를 돌아다님. 중국의 교통상태가 남쪽은 강이 많아 배를 쓰고 , 북쪽은 지형과 기후 관계로 말이나 차를 많이 쓰는 데서 온 말. == 남행북주(南行北走) 020 ▶ 남아수독오거서 (男兒須讀五車書) 남아는 모름지기 다섯 수레가 되는(많은) 책을 읽어야 한다. ▶ 남전북답 (南田北畓) 소유한 논밭이 여러 곳에 흩어져 있음을 나타낸 말. ▶ 남행북주 (南行北走) 남으로 가고 북으로 달린다는 데서 바삐 돌아다님을 뜻함 ▶ 낭중지추 (囊中之錐) 주머니 속에 든 송곳. 재주가 뛰어난 사람은 숨어 있어도 저절로 사람들이 알게 됨 ▶ 낭중취물 (囊中取物) 주머니 속의 물건을 꺼내는 일. 매우 쉬운 일. 식은 죽 먹기. 015 ▶ 낭청좌기 (郎廳坐起) 아랫사람이 윗사람보다 더 심함을 일컫는 말. ▶ 내성불구( 內省不疚) 마음속에 조금도 부끄러울 것이 없음. 마음이 결백함. ▶ 내청외탁 (內淸外濁) 마음은 맑게 가지면서도 겉으로는 흐린 것처럼 하며 어지러운 세상 속에 어울려 살아감. 군자가 난세를 당하여 명철보신(明哲保身)하는 처세술 ▶ 내우외환 (內憂外患) 나라 안팎의 근심 걱정 ▶ 내유외강 (內柔外剛) 사실은 마음이 약한데도, 외부에는 강하게 나타남 010 ▶ 노갑이을 (怒甲移乙) 갑에게서 당한 노여움을 애꿎게 을에게 화풀이한다는 뜻으로 어떤 일로 인하여 노한 것을 엉뚱한 데까지 옮겨 화낸다는 뜻. ▶ 노기복력 (老驥伏櫪) 천리마가 늙도록 마구간에 엎드려 있다는 말로, 인물이 늙기까지 아직 때를 만나지 못함을 비유한 말. ▶ 노기충천 (怒氣沖天) 화난 기색이 하늘을 찌를 듯이 극도로 달한 것. ▶ 노당익장 (老當益壯) 늙어서도 더욱 기운이 씩씩함 ▶ 노래지희 (老萊之戱) 주나라의 노래자(老萊子)가 약 칠십 세대 무늬 옷을 입고 동자의 모습으로 재롱을 부려 부모님에게 매우 효도했다는 뜻. 지극한 효도. 005 ▶ 노류장화 (路柳墻花) 길가의 버들과 담 밑의 꽃은 누구든지 쉽게 만지고 꺾을 수 있다는 뜻으로 기생을 말함. ▶ 노마십가 (駑馬十駕) 둔한 말이 열 수레를 끈다는 말로, 재주가 없는 사람이라도 열심히 일을 하면 훌륭한 사람에 미칠 수 있다는 뜻. ▶ 노마지지 (老馬之智) 늙은 말의 지혜. 하찮은 인간이라도 자기 나름대로의 장점과 특징이 있다는 뜻. ▶ 노방생주 (老蚌生珠) 오래 된 조개가 진주를 낳는다는 말로, 아들이 아비보다 뛰어나게 훌륭하다는 말. ▶ 노변정담 (爐邊情談) 화롯가에 둘러앉아 나누는 정다운 이야기. [어휘력 기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