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문제풀이
-----Update_order
-----readed_count
한문.영문 삼국지소설
50개의 사자성어 요약 중급14탄 동식서숙(東食西宿) 등등 ▶ 동식서숙 (東食西宿) 동쪽에서 먹고 서쪽에서 잔다.① 이룰 수 없는 욕심 ② 매춘부, 거지, 유랑자를 가리킴 ③ 이기적인 생각. == 동가식서가숙(東家食西家宿) 025 ▶ 동심지언 (同心之言) 같은 마음에서 나온 말. 절친한 친구 사이 ▶ 동우지곡 (童牛之牿) 송아지를 외양간에 동여맴과 같이 자유가 없는 것을 말함. ▶ 동원하정(冬溫夏정) 겨울하는 따뜻하게 여름에는 시원하게 해드리고 어두워지면 이부자리를 정해 드리고 아침에는 안후를 살피다. 즉, 정성을 다해 부모를 모시다. ▶ 동이불화 (同而不和) 겉으로는 동의를 표시하면서 내심을 그렇지 않음 ▶ 동정서벌 (東征西伐) 여러 나라를 이리저리 정벌함. 020 ▶ 동족방뇨 (凍足放尿) 언 발에 오줌을 누어 녹인다는 말이니, 일시 구급은 되나 곧 효력이 없어질 뿐 아니라 더 악화된다는 뜻. ▶ 동주상구 (同舟相救) 서로 알거나 모르거나 미워하거나 아니거나 위급한 경우를 함께 만났을 때는 서로 도와주게 된다는 말. == 오월동주(吳越同舟) ▶ 동호직필 (董狐直筆) 동호의 곧은 붓으로, 목숨을 무릅쓰고 역사를 사실대로 기록한 동호의 곧은 붓을 뜻함 ▶ 두문불출 (杜門不出) 세상과 인연을 끊고 출입을 하지 않음 ▶ 두주불사 (斗酒不辭) 말술도 사양하지 않음. 곧 주량이 매우 큼 015 http://www.subkorea.com/xe/gosa ▶ 두찬 (杜撰) 저술한 것에 틀린 곳이 많아 서로 믿을 수 없는 것을 뜻함 ▶ 득롱망촉 (得朧望蜀) 중국 한나라 때 광무제가 농을 정복한 뒤 촉을 쳤다는 데서 나온 말로 끝없는 욕심 ▶ 득실상반 (得失相半) 이로움과 해로움이 같음. ▶ 득어망전 (得魚忘筌) 고기가 잡히면 쓰던 통발을 잊어버린다. 목적이 달성되면 목적을 위해 사용한 것을 잊는다는 뜻. == 토사구팽(兎死狗烹) ▶ 득의만면 (得意滿面) 뜻한 바를 이루어 기쁜 표정이 얼굴에 가득함 010 ▶ 득전전창 (得全全昌) 무릇 일을 꾀하는 데 만전지책을 쓰면 성공하여 창성하고 그렇지 않으면 실패하여 망한다는 뜻. ▶ 등고자비 (登高自卑) ① 높은 곳에 이르기 위해서는 낮은 곳부터 밟아야 한다. 일을 하는 데는 반드시 차례를 밟아야 한다는 말 ② 지위가 높아질수록 스스로를 낮춘다는 말. ▶ 등대불자조 (燈臺不自照) 등대의 불은 먼 곳을 밝게 비춰주나 등대 자신은 어둡다는 뜻으로, 사람도 다른 사람의 일은 잘 살펴보면서 자기 자신의 일에는 도리어 어둡다는 것을 말함. ▶ 득롱망촉 (得隴望蜀) 욕심이 한없음을 말함 ▶ 등루거제 (登樓去梯) 높은 다락에 올려놓고 사다리를 치운다는 데서, 사람을 꾀어서 위급한 지경에 빠지게 함. 005 ▶ 등용문 (登龍門) 출세하여 영달하게 되는 길. ▶ 등태소천 (登泰小天) 태산에 오르면 천하가 조그맣게 보인다. 사람은 그가 있는 위치에 따라 보는 눈이 달라진다는 뜻 ▶ 등하불명 (燈下不明) 등잔 밑이 어둡다. 가까이 있는 것이 오히려 알아내기가 어려움 ▶ 등화가친 (燈火可親) 가을이 되어 서늘하면 밤에 불을 가까이 하여 글 읽기에 좋다는 말 ▶ 등활지옥 (等活地獄) 팔열지옥(八熱地獄)의 첫째. 이 지옥에 떨어지면 옥졸(獄卒)한테 몸이 찢기고 뼈가 바수어지는 등 갖은 형벌을 받다가 숨이 끊어지는데 찬바람이 불어오면 다시 소생하여 그 책고를 한량없이 되풀이한다는 데서 이름이 있음. [어휘력 기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