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문제풀이
-----Update_order
-----readed_count
한문.영문 삼국지소설
50개의 사자성어 요약 중급30탄 일소일소(一笑一少) 등등 ▶ 일소일소 (一笑一少) 한 번 웃으면 젊어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 : 날로 새로워짐 030 ▶ 일심동체 (一心同體) 여러 사람이 굳게 뭉쳐 한마음 한 몸 같다. ▶ 일양래복 (一陽來復) 음(陰)이 끝나고 양(陽)이 돌아옴. 음력 11월 또는 동지를 일컫는 말. 겨울이 가고 봄이 돌아옴. 궂은 일이 걷히고 좋은 일이 돌아옴. ▶ 일인일기 (一人一技) 한 사람이 한 가지의 전문적인 기술을 가지는 일. ▶ 일어탁수 (一魚濁水) 한사람의 악행으로 인하여 여러 사람이 그 해를 받는다. 물고기 한 마리가 온 물을 흐린다. ▶ 일엽지추 (一葉知秋) 사소한 한 가지 일로써 큰일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025 ▶ 일엽편주 (一葉片舟) 나뭇잎처럼 작은 배. 측은지심. ▶ 일의대수 (一衣帶水) 한 줄기의 띠와 같이 좁은 강물이나 바닷물. = 지호지간(指呼之間) 지척지간(咫尺之間) ▶ 일이관지 (一以貫之) 한 방법이나 태도로써 한결같이 꿰뚫음을 뜻한다. ▶ 일일여삼추 (一日如三秋) 하루가 삼년과 같다, 몹시 그리워하며 기다림. 일각여삼추(一刻如三秋) 학수고대(鶴首苦待) ▶ 일장일단 (一長一短) 장점도 있고 단점도 있다. 일취지몽 020 ▶ 일장춘몽 (一場春夢) 부귀영화의 덧없음. 일취지몽(一炊之夢) 남가일몽(南柯一夢) 한단지몽(邯鄲之夢) 남가지몽(南柯之夢) 남가몽(南柯夢) 귀몽(槐夢) 무산지몽(巫山之夢) ▶ 일진일퇴 (一進一退) 한번 나아감과 한번 물러섬. (좋다가 나쁘다가함). ▶ 일촉즉발 (一觸卽發) 건드리면 폭발할 것 같은 위험한상태. 누란지위(累卵之危) 위여누란(危如累卵) 명재경각(命在頃刻) 풍전등화(風前燈火) 백척간두(百尺竿頭) 풍전등촉(風前燈燭) 누란지세(累卵之勢) 초미지급(焦眉之急) 위기일발(危機一髮) ▶ 일촌살인 (一村殺人) 작고 날카로운 쇠붙이로도 사람을 죽일 수 있다, 짧은 경구로도 사람을 크게 감동시킬 수 있다. ▶ 촌철살인 (寸鐵殺人) 짤막한 경구(警句), 격언(格言) 등으로 사람의 마음을 찔러 감동시킴. 정문일침(頂門一鍼) 정문금추(頂門金錐) 일촌살인(一村殺人) 015 ▶ 일촌광음 (一寸光陰) 아주 짧은 시간을 가리킨다. ▶ 일취월장 (日就月將) 날로 달로 자라거나 발전함 . 장취 (將就). ▶ 일구월심 (日久月深) 바라는 마음이 세월이 지남에 따라 더욱 깊어지는 것을 뜻합니다. 학수고대(鶴首苦待) 일각여삼추(一刻如三秋) ▶ 일파만파 (一波萬波) 작은 한 사건이 큰 파장을 불러일으킨다. ▶ 일패도지 (一敗塗地)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는 일어날 수 없게 된다. 010 ▶ 일편단심 (一片丹心) 변치 않는 한 조각 붉은 마음, 참된 충성이나 정성. ▶ 일필휘지 (一筆揮之) 글씨를 단숨에 줄기차게 써 내려 간다. ▶ 일확천금 (一攫千金) 단 한 번에 천금을 움켜진다. 단번에 많은 재물을 얻는 것. ▶ 임갈굴정 (臨渴掘井) 목이 말라서야 우물을 판다. 미리 준비가 없다가 일을 당하여 서두른다. ▶ 임기응변 (臨機應變) 그때 그때의 형편에 따라 알맞게 일을 처리한다. 갑자기 당했을 때 재치것 처리. 005 ▶ 임시방편 (臨時方便) 갑자기 생긴 일을 우선 그때의 사정에 따라 둘러 맞춰 처리. ▶ 임시변통 (臨時變通) 어떠한 상황에 우선 때우려는 방편. '언 발에 오줌누는 격'이라는 속담의 의미. ▶ 임전무퇴 (臨戰無退) 싸움에 임하여 물러섬이 없다. ▶ 임중도원 (任重道遠) 무거운 짐을 지고 먼 길을 가다. 곧 무거운 책임을 맡아 큰 일을 한다는 말. ▶ 입신양명 (立身揚名) 학문연마를 통해 자신의 몸을 수양하고, 출세를 하여 이름을 날림. == 입신출세(立身出世) [어휘력 기르기, 중급사자성어2000]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