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의포식(暖衣飽食/暖衣饱食) ◑ nuǎn yī bǎo shí

▶ 煖 : 따뜻할 난 / 衣 : 옷 의 / 飽 : 배부를 포 / 食 : 먹을 식

▶ 煖衣飽食. 포식난의. 따뜻한 옷에 음식을 배불리 먹음. 생활에 부자유스러움이 없음을 뜻함. 옷을 따뜻이 입고 음식을 배부르게 먹는다는 뜻으로, 의식 걱정이 없는 편한 생활을 이르는 말. 形容生活宽裕,衣食丰足。 fleshpots (be well-clad and well-fed)

▶ 등문공(騰文公)이 맹자에게 신하를 보내 정전법(井田法)에 대해 물었다. 맹자는 이렇게 대답했다.

"당신의 군주께서는 인정을 베푸시고자 많은 신하 가운데 당신을 뽑아 내게 보내셨습니다. 그러니 내가 하는 말을 잘 들어주십시오.

대체로 인정(仁政)이라는 것은 먼저 밭의 경계선을 명확히 하는 것으로부터 시작됩니다. 경계가 확실치 않으면 아무리 정전법을 시행하여도 균형이 깨어지며 관리의 녹도 그것에 의해 정해지거나 불공평한 일이 생기게 됩니다.

그러기에 폭군이나 탐관이 있는 곳은 경계가 불확실한 것이 특징입니다. 경계를 확실히 정해 두면 정확히 밭을 분할할 수가 있고, 농작물의 수확량을 기초로 녹(祿)을 결정하는 게 쉬워집니다."

맹자는 말한다.

"인간의 생활이란 분업을 하는 것입니다. 원시적인 자급자조만으로는 나라의 기틀을 공고히 할 수가 없습니다."

그 당시 묵자의 영향을 받은 허행이라는 이가 송나라로부터 등나라에 들어와 살고 있었다. 그는 거친 옷을 입고 자신이 지은 음식을 먹고 있었다.

언젠가 그는 등문공에게 임금도 백성과 마친가지로 손수 농사를 지어야 한다고 말한 바 있는 인물이었다.

"농기구나 그릇 등의 당장에 쓰지 않는 물건은 필요한 이웃의 쓰지 않은 물건과 바꾸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우 임금 같은 분은 여덟 해 동안 아홉 개의 큰 강을 막으셨으며 세 번이나 자신의 집 앞을 지나가면서도 들어가지 못했다고 합니다.

군왕과 선각자들이 강을 막고 농사 짓는 법을 가르쳐 주어 백성들이 따뜻한 옷을 입고 배불리 먹고 사는 것(暖衣飽食)이 아니겠습니까."

▶ 맹자가 60세가 지나 등 나라의 문공(文公)에게 초대되어 갔을 때, 주(周) 나라처럼 정전법(井田法)을 실시하여 등 나라를 이상적인 사회로 만들도록 설득하였다.

이때 묵자(墨子)의 영향을 받은 중농주의자인 허행(許行)이 송(宋) 나라로부터 등 나라에 와서, 문공으로부터 살 집과 전토(田土)를 받고 자기가 짠 거친 옷을 입고 자기가 경작하여 지은 양식을 먹고 사는 주의를 실천하고 있었다.

유교의 생활방식을 버리고 허행과 같은 생활을 시작한 진상(陳相)이라는 사람이 맹자에게,

"등 나라 임금도 백성들과 마찬가지로 손수 농사를 지어서 먹어야 하지 않느냐." 고 하였다. 맹자는 허행이 사용하는 농기구와 질그릇이 자기가 지은 농산물과 물물교환한 것이라는 사실을 확인한 다음, '인간의 생활이란 분업을 하는 것이지 원시적 자급자족이란 불가능하다'는 것을 말하고, '허행도 농기구나 그릇 등을 물물교환하여 쓰고 있지 않느냐.'고 깨우쳐 주면서, '우(禹) 임금 같은 분은 8년 동안 아홉 개의 큰 강을 막아 다스리느라고 세 차례나 자기의 집 문 앞을 지나면서도 못 들어갔다'는 것을 예로 들었다.

그리하여 후직(后稷: 순 임금 때 농사일을 관장하던 관직)을 시켜 백성들에게 농사짓는 일을 가르치게 하였다. 이리하여 오곡이 익어 백성들이 잘 살게 되었다. 


"사람에게 도(道)가 있으니 배불리 먹고 따뜻하게 입고 편안하게 살지라도 가르침이 없으면 금수에 가까워지게 된다(人之有道也 飽食煖衣逸居 而無敎 則近於禽獸). 


성인이 이것을 근심하여 설(契)로 하여금 사도(司徒)로 삼아 인륜으로써 가르치게 하니(聖人有憂之 使契爲司徒 敎以人倫),
부자 사이에는 친함이 있고, 군신 사이에는 의가 있고, 부부 사이에는 구별이 있고, 연장자와 연소자 사이에는 차례가 있고, 벗 사이에는 믿음이 있다(父子有親 君臣有義 夫婦有別 長幼有序 朋友有信)" 


여기서 '난의포식'이 유래되었으며, '포식난의'라고도한다.


[출전] 맹자(孟子) 등문공편

▶ [유사어] 고량자제(膏粱子弟) : 부귀한 가문에서 태어난 사람. 부유한 가정의 어린아이. 미식(美食)하는 자제. 膏는 기름진 고기. 粱은 맛있는 밥. 이 둘로 미식을 나타낸다. 변해서 부귀한 집, 재산가의 비유의 비유가 되었다. (膏 : 기름질 고 粱 : 기장 량 子 : 아들 자 弟 : 아우 제)


▶ [출전] 先秦 墨翟《墨子 天志中》:“百姓皆得暖衣饱食。”

[동의어] 풍의족식(丰衣足食)

[반의어] 기한교박(饥寒交迫)



※) 20200522_youtube.jpg 사자성어 성어TV성어낭독, 성어퀴즈



한국 Korea Tour in Subkorea.com Road, Islands, Mountains, Tour Place, Beach, Festival, University, Golf Course, Stadium, History Place, Natural Monument, Paintings, Pottery, K-jokes, UNESCO Heritage, 중국 Chin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J-Cartoons, 일본 Japan Tour in Subkorea.com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E-jokes, 인도 Indi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UNESCO Heritage, Tour Place,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Pain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