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절차탁마(切磋琢磨) ◑ qiē cuō zhuó mó

▶ 切 끊을, 자를 절. 磋 탄식할, 찬탄할 차. 琢 쫄 탁. 磨 갈 마.

▶ 옥, 돌, 상아 따위를 자르고 쪼고 갈고 닦아서 빛낸다는 뜻으로, '학문, 덕행을 갈고 닦음'의 비유. 切:指加工骨头;磋:指加工象牙;琢:指加工玉石;磨:指加工石头。原指对玉石、象牙等的细加工;现指讨论问题;取长补短。 education as a gradual polishing process

▶ 논어(論語) '학이편(學而篇)'에는 시경(詩經)에 실려 있는 시가 인용되고 있다.

언변과 재기가 뛰어난 자공(子貢)이 어느 날 스승인 공자(孔子)께 여쭈었다.

"가난해도 아첨함이 없고[貧而無諂], 부유하면서 교만함이 없는 것[富而無驕] 은 어떠합니까?"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훌륭하도다. 그러나 가난해도 도(道)를 즐거워하고[貧而樂道], 부유하면서도 예절을 좋아하는 사람 만은 못하느니라[富而好禮]."

자공(子貢)이 다시 여쭈었다.

"시경에 이르기를, '선명하고 아름다운 군자는 뼈나 상아(象牙)를 잘라서 줄로 간 것[切磋]처럼 또한 옥이나 돌을 쪼아서 모래로 닦은 것[硏磨]처럼 밝게 빛나는 것 같다'고 나와 있는데 이는 선생님이 말씀하신 '수양에 수양을 쌓아야 한다'는 것을 말한 것일까요?"

孔子께서 말씀하셨다.

"사(賜:자공의 이름)야, 비로소 더불어 시경을 논할 만하구나. 지난 일들을 일러 주었더니 닥쳐올 일까지 안다고 했듯이, 너야말로 하나를 듣고 둘을 알수 있는 인물이로다."

子貢曰 貧而無諂 富而無驕 何如 子曰 可也 未若貧而樂富而好禮者也 子貢曰 詩云 如切如 磋 如琢如磨 其斯之謂與 子曰 賜也 始可 與言詩已矣告諸往而知來者.

[출전] 논어 '論語' 學而篇 / '詩經' 衛風篇

[준말] 절마(切磨)

[원말] 여절여차 여탁여마(如切如磋 如琢如磨)

▶ [출전] 汉 王充《论衡 量知篇》: “人之学问,知能成就,犹骨象玉石,切磋琢磨也。”

[예문] 盖以朋友之臧否,文艺之优劣,切磋琢磨,匪朝伊夕,抑扬去就,与众共之。 (五代 王定保 《唐摭言》卷一

[동의어] 취장보단(取长补短), 추본소원(推本溯源)

[반의어] 부구심해(不求甚解), 천상첩지(浅尝辄止)
.


※) 20200522_youtube.jpg 사자성어 성어TV성어낭독, 성어퀴즈



한국 Korea Tour in Subkorea.com Road, Islands, Mountains, Tour Place, Beach, Festival, University, Golf Course, Stadium, History Place, Natural Monument, Paintings, Pottery, K-jokes, UNESCO Heritage, 중국 Chin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J-Cartoons, 일본 Japan Tour in Subkorea.com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E-jokes, 인도 Indi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UNESCO Heritage, Tour Place,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Pain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