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징전비후(懲前毖后/惩前毖后) ◑ chéng qián bì hòu

▶ 懲(혼날 징) 前(앞 전) 毖(삼갈 비) 後(뒤 후).

▶ 지난날을 징계하고 앞날을 삼가다. 이전에 저지른 과오(過誤)에서 교훈을 얻어 뒷날에는 일을 신중하게 한다는 뜻. 惩:警戒:毖:谨慎;小心。吸取过去失败的教训;以后小心;不致重犯错误。 learn lessons from the past and keep an eye on the future
  
▶ 주(周)나라 무왕(武王)이 세상을 떠난 뒤 그의 아들 성왕(成王)이 왕위를 계승(繼承)했다. 그러나 성왕은 아직 나이가 어려 그의 숙부 주공(周公)이 섭정(攝政)을 하게 되었다. 주공은 무왕이 은(殷)나라를 멸망시키고 주나라를 세우는데 크게 기여한 인물이다. 

그러자 무왕의 사촌형인 관숙(管叔)과 채숙(蔡叔)은 주공을 시기한 나머지, 주공이 성왕을 죽이고 왕위를 찬탈하기 위해 역적 모의를 하고 있다고 헛소문을 퍼뜨렸다. 그리고는 은나라의 마지막 왕인 주왕(紂王)의 아들 무경(武庚)과 손잡고 반란을 일으켜 성왕을 몰아내려 했다. 

이 소식을 전해 들은 성왕은 시 한수를 지어 이 반란을 기어코 평정하겠다는 의지를 다졌다. 이 시가 바로 "시경"에 수록된 "주송(周頌)" 중 "소비편(小毖篇)"으로 그 첫구절이 "預其懲而毖後患(예기징이비후환)"으로 되어 있다. 지난날의 과오를 뼈아프게 새기면서 앞으로 다시는 다른 환난이 일어나지 않도록 경계한다는 뜻이다. 

"지난날의 과오"란 한때 성왕이 간신들의 모함을 믿고 주공을 멀리 했던 것을 가리키는 말이다. 징전비후(懲前毖後)는 이 시 구절을 인용해서 후세 사람들이 만든 것이다. 반란은 주공의 노력으로 진압되고 무경과 관숙은 처형당하고, 채숙은 멀리 유배(流配)의 길을 떠났다. 

임진왜란(壬辰倭亂)이 끝난 뒤 서애(西涯) 유성룡(柳成龍)이 전쟁을 회고하면서 쓴 "징비록(懲毖錄)"은 바로 징전비후(懲前毖後)에서 따서 붙인 제목. 왜란을 교훈으로 삼아 스스로 힘써 다시는 그런 전철(前輟)을 밟지 말자는 뜻에서 편찬된 것이다. 
 
[출전] 시경(詩經). 
  
▶ 西周年幼的周成王在周公姬旦的辅佐下治理国家,周武王的弟弟管叔鲜、蔡叔度造谣说周公准备篡位,周公为表忠心隐居外地。管叔鲜等立即叛乱,周成王请周公率军讨伐。周成王说他要从所受的惩戒中汲取教训以便将来不再发生类似情形。

[출전] 《诗经 周讼 小毖》:“予其惩而毖后患。”

[동의어] 전거지감(前车之鉴), 소징대계(小惩大诫)

[반의어] 중도복철(重蹈覆辙)



※) 20200522_youtube.jpg 사자성어 성어TV성어낭독, 성어퀴즈



한국 Korea Tour in Subkorea.com Road, Islands, Mountains, Tour Place, Beach, Festival, University, Golf Course, Stadium, History Place, Natural Monument, Paintings, Pottery, K-jokes, UNESCO Heritage, 중국 Chin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J-Cartoons, 일본 Japan Tour in Subkorea.com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E-jokes, 인도 Indi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UNESCO Heritage, Tour Place,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Pain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