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비부감수(蚍蜉撼樹/蚍蜉撼樹/蚍蜉撼树) ◑ pí fú hàn shù
 
▶ 蚍 왕개미 비 蜉 하루살이 부 撼 흔들 감 树 나무 수

▶ 제 분수를 모르고 무모한 행동을 하다. 주제를 모르다. '왕개미가 나무를 흔들려고 한다'라는 말로, 자신의 역량도 생각하지 않고 함부로 큰 일을 계획하거나 큰소리치는 것을 비유하는 고사성어. 蚍蜉:一种大蚂蚁;撼:摇动。蚂蚁摇动树木;比喻不自量力;企图用微不足道的力量动摇破坏强大的事物。 a person's overstimating his strength

▶ 비부감대수(蚍蜉撼大樹)라고도 한다. 이백(李白)과 두보(杜甫)는 중국 문학사에서 각각 시선(詩仙)과 시성(詩聖)으로 추앙받는 존재이다. 한유가 활동한 시기는 이들이 사망한 지 몇 십 년이 지난 뒤였다. 그 때까지만 해도 이백과 두보의 명성이 오늘날처럼 굳건하지 못하여 그들의 작품을 폄하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한유는 친구인 장적을 위하여 지은 〈조장적(調張籍)〉이라는 시의 첫머리에서 "이백과 두보의 문장은 그 빛이 만 길이나 뻗는다. 어리석은 아이들이 이를 모르고, 어찌하여 고의로 헐뜯는고. 왕개미가 큰 나무를 흔드는 격이니, 제 분수도 모르는 꼴이 가소롭구나(李杜文章在, 光焰萬丈長. 不知群兒愚, 那用故謗傷. 蚍蜉撼大樹, 可笑不自量)"라고 읊었다.

한유는 제 분수도 모르고 위대한 시인을 헐뜯는 무리들을 아이들(群兒)이라고 부르며 가소롭다고 비웃은 것이다. 여기서 유래하여 비부감수는 자기 분수를 모르고 큰소리를 치거나 자신의 능력으로 감당할 수 없는 큰 일을 계획하는 것을 비웃는 말로 사용된다.
 
[출전]  당나라 시인 한유(韓愈) 조장적(調張籍)

唐朝时期,李白、杜甫刚去世不久,就有人对这两位诗人的作品妄加诋毁,韩愈对此很不满意,就写给好友《调张籍》一诗:“李杜文章在,光焰万丈长,不知群儿愚,那用故谤伤,蚍蜉撼大树,可笑不自量。”得到张籍的赞同

[출전] 唐 韩愈《调张籍》诗:“蚍蜉撼大树,可笑不自量。”

[동의어] 자불양력/자부양력(自不量力), 당비당거(螳臂当车)

[반의어] 량력이행(量力而行), 역불능급(力不能及)

-----> 蚍蜉撼树 ( pí fú hàn shù )
 


※) 20200522_youtube.jpg 사자성어 성어TV성어낭독, 성어퀴즈



한국 Korea Tour in Subkorea.com Road, Islands, Mountains, Tour Place, Beach, Festival, University, Golf Course, Stadium, History Place, Natural Monument, Paintings, Pottery, K-jokes, UNESCO Heritage, 중국 Chin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J-Cartoons, 일본 Japan Tour in Subkorea.com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E-jokes, 인도 Indi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UNESCO Heritage, Tour Place,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Pain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