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회수 : 90   작성일 : 2003-06-19      


◐삼재 三才◑


▶ 만물을 지배하는 세 가지. 天, 地, 人.

▶ 동서양을 막론하고 ‘3’은 완성, 최고, 신성, 장기성, 종합성 따위로 인식되고 있으니, 우리만 3을 중시한다고 볼 수는 없다.

엔드레스(F. C. Endres)는 '수의 신비와 마법'에서 3을 이렇게 설명하고 있다.

“라이문트 뮐러는 1903년 논문에서 설화와 문학, 그리고 미술에 나타난 3이라는 수의 중요성을 해명하고자 했다. 그는 자연을 유심히 관찰하면 3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체험할 수 있다 고 주장했다.

즉 인간은 물과 공기와 흙을 보고 세 가지 형태의 세계가 존재한다는 사고를 발전시켰다는 것이다.

인간은 물체의 세 가지 상태(고체·액체·기체)와 피조물의 세 가지 집단 (과일·식물·동물)을 발견했다. 인간은 식물에서는 뿌리와 줄기와 꽃을, 과실에서는 껍질과 과육과 씨앗을 밝혀냈다.

또한 태양은 아침, 정오, 저녁에 각각 다른 모습을 갖는다고 여겼다. 실제로 모든 경험은 길이와 높이와 넓이라는 공간 좌표 안에서 이루어진다. 우리가 지각하는 세계는 3차원이다.

일체의 삶은 생성과 존재와 소멸로 표상될 수 있는 시작과 중간, 그리고 끝이라는 세 국면으로 진행되며, 완전한 전체는 정립과 반정립, 그리고 종합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색채의 혼합은 삼원색인 빨강, 파랑, 노랑에서 비롯한다. ”

오늘날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이러한 자연현상 속의 3은 동서양을 막론하고 공통적이다.

서구의 3개념이 가장 절대적으로 드러난 부분은 역시 삼위일체다.
삼위일체는 초기 기독교시대에 등장, 후에 정립된 완벽의 개념이다.

우리나라의 종교관이 3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는 것과 비교할 때, 그 유사성이 보인다. 우리는 우리들의 싱화에 담겨진 3의 의미를 지나치게 간과해왔다.

우리 민족의 탄생신화에서 조차 녹아 있는 3은 가장 환상적인 숫자임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민족신화에 3이 매우 중요했음을 암시한다.

단군신화에서 삼위태백, 천부인 3개, 무리 3000명, 풍백·우사·운사, 360여 가지 일, 삼칠일간의 금기 ... 모조리 3이다. 실상 환인, 환웅, 단군의 '3대(三代)'로 이루어지는 ‘삼신(三神)’체계가 고대신화의 원형을 이룬다.

임재해 교수(안동대)는 그의 저서〈민족신화와 건국 영웅들〉에서 단군신화의 인간상을 셋으로 나눈다. 신격으로서의 황웅, 동물격인 곰녀, 그리고 인격인 단군이 3의 원형체계라는 것이다.

해모수가 동명왕으로 이어지고, 동명왕이 유리왕으로 이어지는 고대 부여족의 신화적 중심인물도‘3대’이기는 마찬가지다.

중국에서도 3이 두루 쓰였다. 중국 청동기문화의 대표적인 제사도구들을 대개 세 개의 다리로 되어 있으니 제기(祭器)를 뜻하는 정(鼎)이란 글자도 다리 셋을 형상화한 것이다.

고대 동방의 삼재설(三才說)은 천·지·인 수관념은 그대로 한글 창제원리 로도 작용하였다.

홀소리 글자의 기본을 셋으로 정하여‘·’는 하늘,‘ㅡ’는 땅,‘ㅣ’는 사람이 서 있는 모양을 본떠, 세상은 하늘과 땅, 그 사이에 서 있는 사람으로 이루어진다는 생각이다.

우리나라는 중국의 한자문화권에 편입되면서 한문식의 3개념이 강화되었다.
'주자가례'가 강화되면서 귀착된 삼강오륜(三綱五倫),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 , 삼일장(三日葬), 삼배(三拜), 삼탕(三湯), 삼색실과(三色實果)등이 그것이다. 삼황(三皇), 삼도(三道), 삼족(三族), 삼계(三戒)도 들어온 것들이다.

한자문화권에서는 한자를 풀어서‘一’과 ‘二’를 합한 것을‘三’으로 보았다.‘三’을 거꾸로 세우면‘川(泉)’이 되어 ‘셋’과‘샘’은 어원도 같고 무궁무진함을 뜻하기도 한다.

문자가 생성되던 상고시대부터 3은 늘 완벽의 상징이었다.

불교에서는 조금 어려운 말로 삼성(三性)이라고 하여 일체의 세간법(世間法)을 그 본질 면에서 선(善), 악(惡), 무기(無記)의 셋으로 보는 교설이 있다.

이 삼성의 입장에서 관조된 세계는 공(空:없음)일 뿐만 이니라 진실한 유(有: 있음)가 될 수도 있다고 보았다. 세상의 있고 없음이 모두 삼성에 기초하고 있다는 말이다.

불보(佛寶)·법보(法寶)·승보(僧寶)를 의미하는 삼보(三寶), 삼보에 귀의하는 삼귀의(三歸依), 순수한 집중을 통하여 마음이 고요해지는 상태인 삼매(三昧), 중생들의 세계를 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로 나누는 삼계 (三界) 등은 모두 불교에서 전래된 것이다.

3은 저 홀로 쓰여지는 것만도 아니다. 3이 3번 반복되어 9를 이루면서 강한 뜻을 나타내기도 한다.

마을굿에서는 서말·서되·서홉으로 쌀을 준비하여 신성의 의미가 한결 강해진다.

아홉수라고 하여 29살에 결혼을 피하는 관념속에는 이미 '삼재' 라고 하는 액이 3번 반복된 마지막 해라는 계산법이 숨겨져 있다.

아기를 낳고 금줄을 치면서 몸조리를 하게 되는 삼칠일(21일간)에도 7이 3번 반복된 의미가 담겨 있다.

삼현육각, 삼정승 육판서 처럼 3과 3의 배수인 6이 결합하여 강조되기도 한다.

무언가 잘못을 하고서 부지런히 도망을 칠 때, 우리는 '삼십육계' 줄행랑을 친다고 말한다. 3이 열두번이나 반복되었으니 대단한 속도감을 뜻한다.

여기서 열두번은 대단히 많다는 속뜻을 지니고 있다.

반복은 좋은 것을 더욱 좋게 만든다. 우리는 늘 홀수가 두 번 겹친 것을 선호했다.

1월 1일의 설날은 말할 것도 없고, 3월 3일의 삼짇날, 5월 5일의 단오, 7월 7석의 칠석, 9월 9일의 중구절을 중시했다. 어느 누가 2월 2일, 4월 4일, 6월 6일, 8월 8일, 10월 10일을 중시하는가.

3을 양수(陽數)이고 길한 숫자인 탓으로 양수가 겹쳐진 삼월 삼짇날(3.3) 따위를 길일로 친 것도 것도 반복의 원리다. 삼월 삼짇날은 겨우내 얼어붙었던 땅이 풀리며 냇가의 버들 강아지도 눈을 트고 모처럼 기지개를 펴게 되는 길일이다.

중국사람들 최대 명절인 9.9절도 바로 3.3이 반복된 결과다. 이날은 양기가 그득하여 천지 만물이 힘을 얻게 된다고 믿어왔다.

3을 좋아하는 수관념은 짝수보다도 홀수를 선호했던 수관념과도 관계있다. 우스갯소리로, 술집에서 맥주를 시킬 때 '1·3·5·7·9’를 고집하는 것도 무의식중에 이러한 수개념에서 비롯된 게 아닐까.



2003/01/14 14:16 자 뉴스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는 '3'이라는 숫자를 유난히 좋아한다고 한 신문이 보도했다. 한 예로 노 당선자는 지난 13일 공기업 및 산하단체장 인사원칙으로 '효율성ㆍ공익성ㆍ개혁성' 세 가지를 제시했다는 것. 실제로 그는 '3원칙' '3단계' '3대 과제' '세 가지 기준' 등 숫자 3을 자주 사용한다.

우리 민족은 3이라는 숫자를 즐겨 써왔다. 다른 민족이나 문화권에서도 이 숫자가 애용되지만 한민족의 경우 유달랐다. 노 당선자의 '3'자 화법은 그의 개성에 그치는 게 아니라 한민족의 특성을 은연중에 드러낸다는 얘기다.

이 숫자는 나라를 처음 연 단군 이야기에서부터 줄줄이 나온다. 하늘의 주재자인 환인(桓因)이 아들 환웅(桓雄)을 인간세상에 내려보내기 위해 둘러 봤던 곳이 삼위태백(三危太伯)이었다고 삼국유사(三國遺事)는 적고 있다. 여기서 환인-환웅-단군은 기독교에서 말하는 삼위일체(三位一體)인 성부-성자-성령과 흡사하다고 하겠다.

환인이 인간세상을 다스리라고 권능의 표시로 아들에게 준 것은 천부인(天符印) 세 개였다. 천부인을 소지한 환웅은 부하 셋(풍백ㆍ우사ㆍ운사)과 무리 3천명을 데리고 태백산 정상에 있는 신단(神檀) 아래로 내려와 도읍지를 열고 신시(神市)라 불렀다.

'3' 이야기는 계속된다. 환웅과 같이 살기 위해 곰과 호랑이가 지켜야 할 금기가 삼칠일인 21일이었고, 단군이 국호를 정하고 개국한 것이 공교롭게도 기원전 2333년이었다. 사학자 이이화씨는 환인, 환웅, 단군은 조선을 세우는 과정에 나오는 세주인공이며 이는 곧 하늘, 땅, 사람(天地人)이라는 삼재(三才) 를 나타낸다고 말한다.

3은 전통생활에서 기본개념으로 통했으며 민속학적으로도 뿌리깊게 자리잡았다.

내기를 할 때나 씨름을 할 때도 삼세판을 기본으로 하고, 상대가 잘못을 저질러도 세 번은 참아준다. 수태를 원해도 칠일마다 세 번에 걸쳐 삼신(三神) 할머니에게 아이를 점지해달라고 빌었다.

이 숫자가 사용된 예는 이밖에도 헤아릴 수 없이 많다. 백제가 멸망할 때 낙화암에서 몸을 던진 궁녀의 숫자도 3천이라 했고, 임금을 보좌하는 '빅 쓰리'는 영의정, 좌우정, 우의정의 삼정승이기 마련이었다. 불교에도 이 숫자가 익숙해서 불(佛)ㆍ법(法)ㆍ승(僧) 삼보(三寶)에 귀의하고자 하며 석탑을 세워도 대개 3층이었다.

집을 지어도 초가삼간이요, 지극한 혈육관계도 삼대(三代)까지로 생각했고, 더위도 삼복(三伏)이라야 했으며 짝을 지어 다녀도 삼삼오오(三三五五)였다. 삼각산,삼막사, 삼청동 등 지명은 물론이고 삼성, 삼익, 삼환, 삼부 등 회사의 명칭도 3자를 단골로 썼다. 사람의 이름 역시 이 숫자를 이용한 경우를 자주 볼 수 있다.

우리 강토의 아름다움을 자랑삼아 이야기할 때도 삼천리 금수강산이어야 제격이다. 영화에서 엄마를 찾아 헤매더라도 3만리였을 때 더욱 가슴 찡하게 다가온다. 근래 사용된 '3'자의 압권은 독립선언서가 아닌가 한다. 기미년 3월 1일에 발표된 이 선언서는 33인이 서명한 문서로 끝에 '공약3장'을 달아놓고 있으니 말이다.

'3'은 가장 이상적인 숫자로 여겨져왔다. 이것이 주는 안정성과 효율성, 함축성, 이상성은 다른 숫자를 압도하며 따라서 정서적으로도 가슴에 깊이 파고들었다. 이는 동서고금을 망라하는데, 오랜 역사에서 이 숫자에 실린 인간의 꿈과 소망은 매우 컸다고 할 수 있다. 마침 '3'자로 끝나는 올해에는 개인과 국가 그리고 민족에게 다복한 일만 생겼으면 좋겠다.

[연합뉴스]  



※) 20200522_youtube.jpg 사자성어 성어TV성어낭독, 성어퀴즈



한국 Korea Tour in Subkorea.com Road, Islands, Mountains, Tour Place, Beach, Festival, University, Golf Course, Stadium, History Place, Natural Monument, Paintings, Pottery, K-jokes, UNESCO Heritage, 중국 Chin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J-Cartoons, 일본 Japan Tour in Subkorea.com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E-jokes, 인도 Indi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UNESCO Heritage, Tour Place,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Pain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