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대 우왕(1374-1388)

아명 모니노(牟尼奴). 신돈(辛旽)의 시녀 반야(般若)의 소생. 공민왕이 신돈의 집에 미행하여 낳은 아들이다.

1371년(공민왕 20) 신돈이 처형된 다음 궁중에 들어가,

1373년 우(禑)라는 이름을 받고 강령부원대군(江寧府院大君)에 봉해졌다. 때를 같이 하여 명덕태후(明德太后)의 명으로 궁인(宮人) 한씨(韓氏)의 소생으로 발표하였다.

1374년 공민왕이 시해되자, 수시중(守侍中) 이인임(李仁任)의 후원으로 10세에 즉위하였다. 처음에는 경연(經筵)을 열어 학문을 닦기에 힘썼고, 명덕태후의 훈계를 받아 몸가짐을 바로하여 기대를 모았으나, 명덕태후가 죽은 다음 사냥·음주가무·엽색 등 방탕에 빠져 백성들의 신망을 잃었다.

여기에다 국왕을 믿고 권력을 휘두른 이인임이 최영(崔塋)·이성계(李成桂) 등으로부터 미움받아 경산부(京山府)에 유배됨에 따라, 정치적 지지기반을 잃었다.

1388년 5월 이성계의 위화도 회군이 있었으며, 6월 왕족의 혈통이 아니고 신돈의 자식이라는 이성계의 주장에 따라 왕위에서 쫓겨나 강화에 유배되었다. 강릉(江陵)으로 옮겨져,

1389년 12월 그의 아들 창왕(昌王)과 함께 이성계에 의해 살해되었다. 우왕·창왕은 모두 폐위되었기 때문에, 죽은 뒤에 왕으로서의 시호를 받지 못하여 폐왕 우, 폐왕 창으로 기록되었다.

【철령위 사건, 우왕 14년 (1388)】
고려 말기에 명나라와의 사이에 야기되었던 철령(함경도와 강원도의 경계) 이북땅의 귀속문제.

명나라 태조가 이 땅은 원래 원나라에 속해 있던 땅이라 하여 자기 나라에 귀속시켜 철령위를 설치하자, 고려에서는 이곳에 성을 신축하는 등 분쟁을 계속. 이 문제는 마침내 요동정벌로까지 번졌다 .


【최영 崔瑩 (1316~1388)】
고려의 명장·충신. 본관 동주(東州). 시호 무민(武愍).

양광도도순문사 (楊廣道都巡問使) 휘하에서 수차 왜구를 토벌, 우달치[于達赤: 司門人]가 되었으며

1352년(공민왕 1) 조일신(趙日新)의 난을 평정하고, 호군(護軍)에 올랐다.

1354년 대호군(大護軍) 때 원(元)나라의 요청으로 중국에서 장사성(張士誠)의 난군을 토벌하고 귀국, 서북면병마부사(西北面兵馬副使)가 되어 원나라에 속했던 압록강 서쪽의 8참(站)을 수복했다.

158년 양광·전라도 왜적체복사(楊廣全羅道倭賊體覆使) 때 오예포(吾乂浦)에 침입한 왜선 400여 척을 격파했으며

1359년 4만의 홍건적(紅巾賊)이 서경(西京:平壤)을 함락하자

1360년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 이방실(李芳實) 등과 함께 이를 물리치고 좌산기상시(左散騎常侍) 등을 지냈다.

1361년 홍건적이 창궐, 개경(開京)까지 점령하자 안우(安祐)·이방실 등과 함께 이를 격퇴, 훈(勳) 1등에 도형벽상공신(圖形壁上功臣)에 책록되고 전리판서 (典理判書)에 올랐다.

1363년 흥왕사(興王寺)의 변(金鏞의 난)이 일어나자 이를 진압, 진충분의좌명 공신(盡忠奮義佐命功臣) 1등이 되고 찬성사(贊成事)에 이르렀다.

1364년 원나라에 있던 최유(崔濡)가 덕흥군(德興君)을 왕으로 추대, 군사 1만으로 쳐들어오자 서북면도순위사(西北面都巡慰使)로서 의주(義州)에서 섬멸했으며, 이어 박백야(朴伯也)가 연주(延州)에 침입하자 부하 장수를 시켜 격퇴했다.

1365년 강화(江華)에서 왜구와 싸우던 중, 신돈(辛旽)의 모함으로 계림윤 (鷄林尹)에 좌천되고 훈작(勳爵)도 삭탈당하고 유배되었다가

1371년 신돈이 처형되자 복직, 문하찬성사(門下贊成事) 등을 지냈다.

1374년 제주(濟州)의 이른바 호목(胡牧)의 난에는 양광·전라·경상도 도통사로 난을 평정, 판삼사사(判三司事)에 올랐다.

1376년(우왕 2) 왜구가 삼남지방을 휩쓸고 원수(元帥) 박원계(朴元桂)가 참패당하자, 최영이 홍산(鴻山)에서 적을 대파, 철원부원군(鐵原府院君)에 봉해졌다.

1377년 서강(西江)에,

1378년 승천부(昇天府:德)에 쳐들어온 왜구를 이성계 등과 섬멸, 안사공신 (安社公臣)의 호를 받았으며,

1380년 해도도통사(海道都統使)로서 왜구 때문에 서울을 철원(鐵原)으로 옮기려던 계획을 철회시켰다.

1381년 영삼사사(領三司事) 등을 지내고 벼슬을 사퇴했다가

1388년 수문하시중(守門下侍中)이 되었는데, 이 때 명나라가 철령위(鐵嶺衛)를 설치, 북변 일대를 랴오둥[遼東]에 귀속시키려 하자 랴오둥 정벌을 계획, 팔도도통사(八道都統使)가 되어 정벌군을 이끌고 출정했으나, 이성계 등의 위화도회군(威化島回軍)으로 랴오둥정벌이 좌절되었다.

이성계군이 개성에 난입하자 이를 맞아 싸우다가 체포되어 고봉(高峰:高陽) 등지에 유배되었다가 개경(開京)에서 참형(斬刑)되었다.


【위화도회군 威化島回軍, 우왕14년, 창왕1년(1388)】
고려 말에 요동 정벌에 나섰던 이성계 등이 위화도에서 군사를 돌이킨 사건.

우왕이 즉위한 뒤 고려가 친원 정책으로 기울자, 1388년 3월 명나라는 원나라가 다스리던 쌍성총관부(雙城摠管府) 자리에 철령위(鐵嶺衛)를 설치하겠다고 통고해 왔다.

이에 분개한 고려에서는 최영(崔瑩)을 중심으로 요동정벌(遼東征伐)론이 일어나 이에 우왕은 최영을 팔도도통사(八道都統使)로 삼아 평양에 나아가 독전하게 하고 조민수(曺敏修)를 좌군도통사, 이성계(李成桂)를 우군도통사(右軍都統使) 로 삼아 정벌군을 이끌고 출정하게 하였으나,

처음부터 이에 반대하던 이성계는 압록강의 위화도에 이르러 조민수와 상의하여

① 요동까지는 많은 강을 건너야 하는데 장마철이라 군량 운반이 곤란하며,
② 습기로 활이 풀려 싸움을 할 수 없고,
③ 소국은 대국을 섬기는 것이 나라를 보호하는 길이니

요동정벌은 불가능하다고 상서(上書)로써 회군할 것을 요청했다.

그러나 최영과 우왕이 이를 허락하지 않자, 5월 20일 스스로 회군을 단행하여 개경으로 돌아와 최영을 귀양보내어 죽이고 정권을 잡았다. 이어 우왕을 내쫓고 창왕을 세우면서 신흥 사대부들이 세력을 얻어 조선을 여는 정치적 기반을 마련했다. [nsgoroek32]
.


한국 Korea Tour in Subkorea.com Road, Islands, Mountains, Tour Place, Beach, Festival, University, Golf Course, Stadium, History Place, Natural Monument, Paintings, Pottery, K-jokes, UNESCO Heritage, 중국 Chin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J-Cartoons, 일본 Japan Tour in Subkorea.com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E-jokes, 인도 Indi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UNESCO Heritage, Tour Place,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Paint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