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Korea.com Korea

Menu

대한민국의 역사 & 문화재조선중기 › 보물1516호 김제 귀신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cyber | 2019.04.06 14:13:06 | 본문 건너뛰기 쓰기
1516_1KJguisin1.jpg
1611 보물 제1516호 김제 귀신사 소조비로자나삼불좌상 
(金堤 歸信寺 塑造毘盧遮那三佛坐像)
전북 김제시 bomulskmhjjunbuk
 
지권인(智拳印)의 비로자나불을 본존으로 하고 좌우에 약사불(向右)과 아미타불(向左)을 배치한 삼불형식으로, 흙으로 제작한 소조상이다. 임진왜란 이후 17세기에는 대형의 소조불상이 많이 만들어졌는데 이 삼불좌상은 보물 제1360호 법주사 소조삼불좌상(玄眞 作, 1626년), 보물 제1274호 완주 송광사 소조삼불좌상(淸憲 作, 1641년) 등과 더불어 이러한 양상을 입증하여 주는 좋은 예이다. 

이 삼불좌상은 규모가 매우 커서 보는 이를 압도하게 하는데, 인자하고 부드러운 얼굴표현과 허리가 긴 장신형(長身形)의 불신(佛身)은 매우 우아하고 품위 있는 불격을 보여준다. 특히, 오른손으로 왼손을 감싸 쥐고 왼쪽 검지 끝을 오른쪽 검지 첫째마디 쪽으로 뻗은 지권인의 표현은 명대 비로자나불에서 나타나는 수인(手印)이며 허리가 긴 장신형의 불상비례 역시 명초에 유행하던 표현이어서 명대 조각의 영향을 엿볼 수 있다. 

이 삼불좌상은 조선시대 1633년에 작성된 귀신사 나한전낙성문에 1633년 이전에 삼불상이 만들어진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자수(子秀) 무경(無竟)의 <전주모악산귀신사사적사인(全州母岳山歸信寺事蹟詞引)>에 의하면 절의 중건이 1624년이라고 하므로 1624년에서 1633년 사이에 삼불좌상이 조성된 것으로 추정된다.

귀신사 비로자나 삼불좌상은 17세기 전반, 명대의 조각양식을 수용하면서 이를 조선불상에 정착시키고 나아가 새로운 양식을 창출해 내고자 하였던 일면을 드러내 줄 뿐만 아니라 거대한 규모와 소조불상 조각의 뛰어난 기법을 잘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작품으로 평가된다.


lt=35.745269&ln=127.046937

첨부 [1]

목록


Korea History Category, 대한민국의 영토변경 : 기원전 4세기 고조선의 영역 (상세지도) -> 5세기 삼국시대, 고구려의 전성 (상세지도) -> 9세기 남북국시대, 발해와 신라 (상세지도) -> 14세기초 고려말 조선초 (상세지도) -> 15세기 조선시대 (상세지도) -> 20세기 정부수립 [부도], 독도, 동해, 대마도, 간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 국립청주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국립순천박물관, 국립나주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 ,한국고전명화청자와백자, 한국그림, 북한그림, Korea Category, 천연기념테마,

World Tour, K-Paintings Category, korea news, 名所[Nice Place] -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남 충북 대전 전남 전북 광주 제주 경남 경북 대구 울산 부산 내고장, 文化財[Historic Place] -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남 충북 대전 전남 전북 광주 제주 경남 경북 대구 울산 부산 내고장, 북한문화재/명소 시대별, 지역별, 천연기념, 고전명화, 도자기 서바이벌 퀴즈 (사자성어, 한문, 국사, 세계사, 영어문제, 부동산, 공무원시험), 역사년표Map BC -AD 1 -600 -1000 -1500 -1800 -1900 -1950 -1980-현재 (1945년이후 10대뉴스), W-Tour Category,

SubKorea.com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