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bKorea.com Korea

Menu

대한민국의 역사 & 문화재고려시대 › 보물1571호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cyber | 2021.05.22 12:46:59 | 본문 건너뛰기 쓰기
보물 제1571호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 및 복장유물 (安東 普光寺 木造觀音菩薩坐像 및 腹藏遺物)
경북 안동시 bomulskmhjkyungbuk 고려시대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은 정교성과 화려함을 두루 갖춘 보관, 이국적이면서도 우아한 귀족풍의 얼굴모습, 단정하고 엄숙하면서도 안정된 신체비례, 간결하지만 탄력 넘치는 옷주름의 표현, 불신 전반에 걸쳐 정교하게 장엄된 영락 장식 등 품격 높은 고려 불교문화의 한 단면을 뚜렷이 보여준다. 이 관음보살좌상은 조성발원문이 남아있지 않지만 현존하는 작품과의 비교를 통해 13세기 전반기에 조성된 보살상으로 추정되는데, 현재 이 시기의 보살상이 거의 남아 있지 않은 점에서 그 자료적 가치는 매우 높다 하겠다.

안동 보광사 목조관음보살좌상에서는 10종 194점에 이르는 복장유물이 함께 발견되었다. 복장전적 중 ‘보협인다라니경(寶篋印陀羅尼經)’과 ‘범서총지집(梵書摠持集)’의 인출시기는 불상 조성시기인 13세기 전반으로 추정되는데, ‘보협인다라니경’은 1007년 총지사(摠持寺)에서 간행한 목판의 원형을 살필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주목된다. 또한 ‘범서총지집’은 1150년 평양 광제포에서 선사 사원(思遠)이 교정하여 개판한 간행기록이 있어 서지학·밀교사상·다라니연구 자료로서 가치가 있으며, 지질 및 판각술은 고려 인쇄문화의 특징을 보여주는 자료이다. 경전류도 대개가 고려시대 인본들로 가치가 있다. 복장유물 중 ‘저고리’는 현전하는 예가 드문 고려시대의 저고리로 복식사 및 직물사 연구에 중요한 자료이다.
.

첨부 [2]

목록


Korea History Category, 대한민국의 영토변경 : 기원전 4세기 고조선의 영역 (상세지도) -> 5세기 삼국시대, 고구려의 전성 (상세지도) -> 9세기 남북국시대, 발해와 신라 (상세지도) -> 14세기초 고려말 조선초 (상세지도) -> 15세기 조선시대 (상세지도) -> 20세기 정부수립 [부도], 독도, 동해, 대마도, 간도, 국립중앙박물관, 국립경주박물관, 국립부여박물관, 국립공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 국립진주박물관, 국립청주박물관, 국립전주박물관, 국립대구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국립제주박물관, 국립순천박물관, 국립나주박물관, 국립익산박물관, ,한국고전명화청자와백자, 한국그림, 북한그림, Korea Category, 천연기념테마,

World Tour, K-Paintings Category, korea news, 名所[Nice Place] -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남 충북 대전 전남 전북 광주 제주 경남 경북 대구 울산 부산 내고장, 文化財[Historic Place] - 서울 경기 인천 강원 충남 충북 대전 전남 전북 광주 제주 경남 경북 대구 울산 부산 내고장, 북한문화재/명소 시대별, 지역별, 천연기념, 고전명화, 도자기 서바이벌 퀴즈 (사자성어, 한문, 국사, 세계사, 영어문제, 부동산, 공무원시험), 역사년표Map BC -AD 1 -600 -1000 -1500 -1800 -1900 -1950 -1980-현재 (1945년이후 10대뉴스), W-Tour Category,

SubKorea.com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