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문제풀이
-----Update_order
-----readed_count
한문.영문 삼국지소설
[문제형태] 허생이 비판하고자 한 사대부의 행태는?
허생은 크게 꾸짖어 말했다. “소위 사대부란 것들이 무엇이란 말이냐? 오랑캐 땅에서 태어나 자칭 사대부로 뽐내더니, 이런 어리석을 데가 있느냐? 의복은 흰옷을 입으니 그것이야 말로 상인(喪人)이나 입는 것이고, 머리털을 한데 묶어 송곳같이 만드는 것이 남쪽 오랑캐의 습속에 지나지 못한데, 대체 무엇을 가지고 예법이라 한단 말인가? .......” <박지원, 허생전>
① 허례허식(虛禮虛飾) ② 부화뇌동(附和雷同) ③ 천편일률(千篇一律) ④ 아전인수(我田引水) ⑤ 교언영색(巧言令色)
jjk02-47. 다음 글에 담긴 ‘만도’의 심정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은? “진수야!”/버럭 소리를 질렀다. “이리 들어와 보래!”/“⋯⋯.” 진수는 아무런 대꾸도 없이 어기적어기적 다가왔다. 다가와서 방 문턱에 걸터앉으니까, 여편네가 보고, “방으로 좀 들어오이소.” / 하였다. “여기 좋심더.” 그는 수세미 같은 손수건으로 이마와 코언저리를 싹씩 닦아 냈다. “마, 아무 데서나 묵어라, 저----국수 한 그릇 말아 주소.”/“야.” “곱배기로 잘 좀⋯⋯. 참지름도 치소, 알았능교?”/“야아.” 여편네는 코로 히죽 웃으면서, 만도의 옆구리를 살짝 꼬집고는 소쿠리에서 삶은 국수 두 뭉텅이를 집어 들었다. ① 금강산도 식후경 ② 우은 아이 젖 준다. ③ 피는 물보다 진하다. ④ 미운 쥐도 품에 품는다. -----> Question-정답은? |
번호 | 제목 | 닉네임 | 등록일 | 조회 | 추천 |
---|---|---|---|---|---|
328 | 다음 중 ‘朝三暮四’와 상반되는 뜻을 지닌 것은? | cyber |
2019-01-22 | 457 | |
327 | 다음 글에 나타난 ‘사내’의 처지를 나타내기에 적절한 속담은? | cyber |
2019-01-29 | 457 | |
326 |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의 구체적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 |
cyber |
2019-01-18 | 458 | |
325 | 각각의 뜻에 부합하는 성어를 짝지어 보았다. 어색한 것은? | cyber |
2019-01-26 | 458 | |
324 | 다음 중 속담의 뜻이 잘못 풀이된 것은? | cyber |
2019-01-29 | 458 | |
323 | 밑줄 친 부분과 가장 가까운 한자 성어는? | cyber |
2019-01-16 | 45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