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문제풀이
다음 글의 괄호 안에 ... | 485 |
다음 글의 '만도'가 ... | 488 |
속담과 고사 성어가 맞... | 489 |
다음 글의 밑줄 친 부... | 489 |
다음 글의 밑줄 친 부... | 490 |
다음 속담과 성어의 의... | 490 |
다음 글과 의미가 가장... | 491 |
다음 글에 나타난 소비... | 491 |
다음 속담이나 고사 중... | 492 |
다음 글의 내용과 가장... | 492 |
생부봉신(生不逢辰)
![]() |
13 |
풍류운산/운산풍류(風流... | 23 |
파안대소(破顔大笑/破颜... | 34 |
금시초문(今時初聞/今时... | 35 |
호일악로(好逸惡勞/好逸... | 38 |
-----Update_order
생부봉신(生不逢辰)
![]() |
13 |
오십보백보/오십보소...
![]() |
2838 |
점입가경/가경점입(漸...
![]() |
1727 |
근묵자흑(近墨者黑/近...
![]() |
1344 |
호일악로(好逸惡勞/好... | 38 |
극근극검(剋勤剋儉/克... | 2468 |
유수호한(游手好閑/游... | 353 |
포식종일(飽食終日/饱... | 458 |
부연색책(敷衍僿責/敷... | 54 |
국궁진췌사이후이(麴... | 11573 |
부연료사(敷衍了事) | 529 |
설상가상(雪上加霜/雪... | 4746 |
천장일구/일구천장(天... | 40 |
구이구지(久而久之) | 167 |
지구천장/천장지구(地... | 630 |
-----readed_count
생부봉신(生不逢辰)
![]() |
13 |
풍류운산/운산풍류(風流... | 23 |
파안대소(破顔大笑/破颜... | 34 |
금시초문(今時初聞/今时... | 35 |
호일악로(好逸惡勞/好逸... | 38 |
명수청사(名垂青史) | 40 |
천장일구/일구천장(天長... | 40 |
제곤부위(濟困扶危/济困... | 46 |
감가부평(坎坷不平) | 50 |
부연색책(敷衍僿責/敷衍... | 54 |
생반경투(生搬硬套) | 91 |
은약기사(隱約其辭/隐约... | 98 |
수명장수(壽命長壽/寿命... | 102 |
정체부전(停滯不前/停滞... | 102 |
례현하사(禮賢下士/礼贤... | 110 |
한문.영문 삼국지소설
Chapter 101-04 두번... | 252 |
西游记m022 八戒大战流... | 252 |
东周列国志x006 卫石... | 252 |
Chapter 059-04 용호... | 253 |
Chapter 060-05 서촉... | 253 |
[문제형태] 허생이 비판하고자 한 사대부의 행태는?
허생은 크게 꾸짖어 말했다. “소위 사대부란 것들이 무엇이란 말이냐? 오랑캐 땅에서 태어나 자칭 사대부로 뽐내더니, 이런 어리석을 데가 있느냐? 의복은 흰옷을 입으니 그것이야 말로 상인(喪人)이나 입는 것이고, 머리털을 한데 묶어 송곳같이 만드는 것이 남쪽 오랑캐의 습속에 지나지 못한데, 대체 무엇을 가지고 예법이라 한단 말인가? .......” <박지원, 허생전>
① 허례허식(虛禮虛飾) ② 부화뇌동(附和雷同) ③ 천편일률(千篇一律) ④ 아전인수(我田引水) ⑤ 교언영색(巧言令色)