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문제풀이
-----Update_order
-----readed_count
한문.영문 삼국지소설
[문제형태] 허생이 비판하고자 한 사대부의 행태는?
허생은 크게 꾸짖어 말했다. “소위 사대부란 것들이 무엇이란 말이냐? 오랑캐 땅에서 태어나 자칭 사대부로 뽐내더니, 이런 어리석을 데가 있느냐? 의복은 흰옷을 입으니 그것이야 말로 상인(喪人)이나 입는 것이고, 머리털을 한데 묶어 송곳같이 만드는 것이 남쪽 오랑캐의 습속에 지나지 못한데, 대체 무엇을 가지고 예법이라 한단 말인가? .......” <박지원, 허생전>
① 허례허식(虛禮虛飾) ② 부화뇌동(附和雷同) ③ 천편일률(千篇一律) ④ 아전인수(我田引水) ⑤ 교언영색(巧言令色)
번호 | 제목 | 닉네임 | 등록일 | 조회 | 추천 |
---|---|---|---|---|---|
16 |
다음 글의 밑줄 친 부분의 구체적 의미로 가장 적절한 것은?
![]() |
cyber |
2019-01-18 | 464 | |
15 | 다음 한자 성어 중 뜻하는 바가 서로 같은 것끼리 묶이지 않은 것은? | cyber |
2019-01-18 | 466 | |
14 | 다음 글과 관계 깊은 한자 성어는? | cyber |
2019-01-18 | 467 | |
13 | 다음 글에 나타난 ‘사내’의 처지를 나타내기에 적절한 속담은? | cyber |
2019-01-29 | 468 | |
12 | 다음 글의 괄호 안에 들어갈 알맞은 말은? | cyber |
2019-01-18 | 469 | |
11 | 다음 글에 담긴 ‘만도’의 심정을 가장 잘 표현한 것은? | cyber |
2019-01-29 | 4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