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사성어 문제풀이
-----Update_order
-----readed_count
한문.영문 삼국지소설
50개의 사자성어 요약 중급31탄 자가당착(自家撞着) 등등 050 ▶ 자가당착 (自家撞着) 스스로 한 말이나 행동이 이치에 맞지 않음. 모순당착(矛盾撞着) 모순(矛盾) ▶ 자강불식(自强不息/自彊不息) 스스로 노력하여 게을리 하지 않다. ▶ 자격지심 (自激之心) 어떠한 일에 대하여 자기 스스로 미흡(未洽)하게 여기는 마음. 자신보다 처지가 못한자가 어떤 부탁을 할때 자존심으로 그에 응하지 못하는 마음. ▶ 자골지한(刺骨之恨) 뼈를 자르는 듯한 원한. ▶ 자구다복(自求多福) 많은 복은 하늘이 주는 것이 아니라 자기 스스로 구하는 것이다. 045 ▶ 자급자족 (自給自足) 자기가 필요한것은 스스로 생산하여 충당함. ▶자기기인 (自欺欺人) 자신을 속이고 남을 속인다. ▶자문자답 (自問自答) 스스로 묻고 스스로 답한다. ▶ 자사자리(自私自利) 자기의 이익만을 생각하다. 이기적이다. 사리사욕을 채우다. ▶ 자손만대 (子孫萬代) 자식과 손자들이 계속해서 이어져 나감을 뜻한다. 040 ▶ 자수성가 (自手成家) 물려받은 재산 없이 스스로 재산을 모아 일가를 이룩함. ▶ 자승자박 (自繩自縛) 자기의 행동으로 말미암아 자기가 괴로움을 받게 된다. ▶ 자업자득 (自業自得) 자기가 저지른 일의 과오를 자기 자신이 받음. ▶ 자중지난 (自中之亂) 자기네 한 동아리 안에서 일어나는 싸움. ▶ 자초지종 (自初至終) 처음부터 끝까지의 과정. 종두지미(從頭至尾) 035 ▶자포자기 (自暴自棄) 절망상태에 빠져서 스스로 자신을 포기한다. ▶자화자찬 (自畵自讚) 자기가 그린 그림을 자기가 칭찬 한다. 제가 한일을 제가 자랑함. ▶ 작사도방(作舍道傍) : 이론(異論)이 많아 결정짓지 못함. ▶ 작심삼일 (作心三日) 억지로 지어먹은 마음이 사흘도 못 간다. 한번 결심한 것이 사흘을 가지 않는다. ▶ 장삼이사 (張三李四) 평범한 사람들. 갑남을녀(甲男乙女) 필부필부(匹夫匹婦) 초동급부(樵童汲婦) 우부우부(愚夫愚婦) 030 ▶ 장유유서 (長幼有序) 어른과 아이는 차례가 있다. ▶ 재세이화 (在世理化) 세상에 있으면서 다스려 교화시킨다. 고조선의 건국이념이다. ▶ 재승박덕 (才勝薄德) 재주는 다른 사람보다 낫지만 덕이 부족함. ▶ 적구지병(適口之餠) : 입에 맞는 떡. ▶ 적반하장 (賊反荷杖) 도둑이 도리어 매를 든다. 잘못한 사람이 도리어 잘못 없는이를 꾸짓음. 025 ▶ 적소성대 (積小成大) 작은것도 쌓으면 크게됨. 적토성구(積土成丘) 적토성산(積土成山) 진합태산(塵合泰山) 수적천석(水滴穿石) 우공이산(愚公移山) 마부작침(磨斧作針) ▶ 적수공권 (赤手空拳)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다. ▶ 적수성가 (赤手成家) 매우 가난한 집에 태어나서 제힘으로 노력해 꿈을 이룬다. 자수성가(自手成家) ▶ 적자생존 (適者生存) 생존경쟁의 결과, 환경에 적응하는 생물만 살아남고 적응 못하는 것은 도태되어 사라짐. ▶ 적재적소(適材適所) 마땅한 인재를 알맞은 인재를 등용한다. 020 ▶ 전거복철 (前車覆鐵) 앞수레가 엎어진 바귀 자국, 앞사람의 실패를 거울삼아. 주의하라는 교훈. ▶ 전광석화 (電光石火) 번갯불이나 부싯돌의 불이 번쩍이는 것처럼, 몹시 짧은 시간이나 매우 재빠른 동작. ▶ 전대미문 (前代未聞) 지금까지 들어본 적이 없는 매우 놀라운 일. 미증유(未曾有) 전고미문(前古未聞) ▶ 전도양양 (前途洋洋) 앞길이 훤하게 열려 희망에 차 있음. ▶ 전전긍긍 (戰戰兢兢) 두려워서 벌벌 떨며 조심하는 모양. 소심익익(小心翼翼) 전전률률(戰戰慄慄) 015 ▶ 전전반측 (輾轉反側) 잠을 이루지 못하고 누워서 몸을 이리저리 뒤척임. 전전불매(輾轉不寐) ▶전화위복 (轉禍爲福) 재앙을 바꾸어 복으로 만든다. 화인위복(禍因爲福) ▶ 절세가인 (絶世佳人) 매우 뛰어난 미인. 절세미인(絶世美人) 절대가인(絶代佳人) 경국지세(傾國之色) 폐월수화(閉月羞花) ▶ 절장보단 (絶長補短) 남는 것을 옮겨서 부족한 데를 채움. 절장속단(絶長續短) ▶ 절차탁마 (切磋琢磨) 학문,기예 따위를 끊임없이 갈고 닦음. 타산지석(他山之石) 공옥이석(攻玉以石) 반면교사(反面敎師) 010 ▶ 절치부심 (切齒腐心) 몹시 원통하고 매우 분한 모양. 절치액완(切齒扼腕) 와신상담(臥薪嘗膽) ▶ 점입가경 (漸入佳境) 문장, 예술작품, 경치가 갈수록 아름답거나 어떤 상태가 더욱확대된 모양. 점점 재미있어짐. ▶ 점점적적 (點點適適) 처마 끝에서 떨어지는 낙수는 정확하여 어긋남 없다. ▶ 정문일침 (頂門一鍼) 정신을 차리도록 따끔한 한 마디의 충고. 촌철살인(寸鐵殺人) 정문금추(頂門金錐) ▶ 정중지와 (井中之蛙) 우물 안의 개구리, 식견이 좁은 사람. 좌정관천(坐井觀天) 정저지와(井底之蛙) 005 ▶ 정혁(鼎革) 새것을 취하기 위해 옛것을 과감히 도려냄. ▶ 제자백가 (諸子百家) 중국 춘추, 전국 시대에 여러 학파, 저서를 통틀어 일컫는 말이다. 백가쟁명(百家爭鳴) ▶ 조강지처 (糟糠之妻) 함께 고생하던 아내 또는 본부인을 일컫는다. ▶ 조령모개 (朝令暮改) 아침법령이 저녁에 바뀐다. 상부에서 내린 법령이 일관성 없이 자주바뀜. 조령모득(朝令暮得) ▶ 조불려석(朝不慮夕) 당장의 걱정 때문에 다음을 생각할 겨를이 없음. [어휘력 기르기, 중급사자성어2000]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