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담속찬(耳談俗纂) ◑

▶ 《이담속찬(耳談續纂)》은 조성 정조 때의 위대한 실학의 집대성자인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의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중 잡찬집(雜纂集)의 하나로 속담을 집대성한 속담집(俗談集)이다.

《이담속찬》은 본래 명(明)나라의 왕동궤(王同軌)가 지은《이담(耳談)》이라는 책의 내용에 다산이 우리 나라에서 고유하게 사용되어 온 속담을 추가로 증보해서 완성한 책이다.

구성은 앞 부분에 170여 개의 중국 속언을 수록하고, 후반부에 "이하동언(已下東諺)"이라 하여 우리 고유의 속담 241개를 수록했는데, 특이한 점은 우리 속담을 8글자씩 한자로 표현하고 각각 한문으로 그 뜻을 제시해 놓았다.

조선 후기의 우리 속담을 집대성해 놓은 《이담속찬》은 그의 우리 속어 어원연구서인 《아언각비(雅言覺非)》와 함께 국문학 및 민속학적으로도 귀중한 자료인데, 이는 다산의 주체적 의식의 소산물로 그의 '조선시(朝鮮詩) 정신'과 함께 근대적 의식을 지닌 위대한 실학자의 정신을 느낄 수 있는 소중한 자료이다.


· 세살에 버릇이 여든에 간다.(三歲之習至于八十)
· 햇비둘기 재넘을가.(鳩生一年飛不踰嶺)
· 하루강아지 범 무서운 줄 모른다.(一日之狗不知畏虎)
· 개꼬리 삼년 두어도 황모 되지 못한다.(狗尾三朞不成豹皮)
· 까마귀 열두 소리 하나도 좋지 않다.(烏聲十二無一?媚)


· 솔개도 오래면 꿩을 잡는다고.(鳶踰三紀乃獲一雉)
· 게새끼는 적어도 집을줄 안다.(蟹子雖纖?己知箝)
· 까마귀 날자 배 떨어지다.(烏之方飛有隕其梨)
· 사나운 개 코등이 아물 적 없다.(可憎之犬非不離癬)
· 아니되는 놈의 일은 자빠져도 코가 깨진다.(窮人之事飜亦破鼻) 


· 사흘 굶어 아니 날 생각 없다.(人飢三日無計不出)
· 원수는 외나무다리에서 만난다.(爾逢爾仇獨木橋頭)
· 대끝헤셔도 삼연이라.(竿頭苟延或之三年)
· 기왓장 하나 옮기다가 대들보 썩인다.(由惜一瓦梁?大厦)
· 솔 심어 정자 구하랴. 얼마 살 인생인가.(植松求亭人壽畿齡) 


· 부뚜막에 소금도 집어 넣어야 짜다.(在?之鹽퀛之乃鹹)
· 동리마다 홀어미 아들 하나씩 있다.(百家之里必有悖子)
· 색씨 그루는 다홍치마에 안처야 한다.(慾制細君須及紅裙)
· 이마에 분 물이 발 뒤꿈치에 흐른다.(灌頂之水必流于趾)
· 소더러 한 말은 없어져도 처더러 한 말은 난다.(語牛則滅語妻則洩) 


· 낫말은 새가 듣고 밤말은 쥐가 듣는다.(晝言雀聽夜言鼠聆)
· 한번 똥눈 개가 일생 눈다구.(一汗藥從醫此狗)
· 열번 찍어 아니 넘어지는 나무 없다.(十斫之木罔不顚履)
· 될상 싶은 푸성귀는 떡잎부터 알아본다.(蔬之將善兩葉可辨)
· 소금에 젖지 않는 것이 장에 들까.(鹽所不쵕豈畏쳥鹹) 


· 어린 아이 말도 귀담아 들어라.(孩兒之言宜納耳門)
· 손톱에 든 가시는 아파도 염통에 쉬 스는 줄 모른다.(瓜芒思擢心?罔覺)
· 한잔 술에 눈물 난다구.(由酒一盞或淚厥眼)
· 소경이 개천 나무란다구.(咎在我溝줥汝何怒)
· 네 쇠뿔이 아니면 내 담이 어찌 무너져.(匪爾牛角我墻何崩) 


· 주인장 업자 나거네 국마다자.(我鼓適醴賓又辭?)
· 도적의 때는 벗어도 환향의 때는 못 벗는다.(盜寃竟雪淫誣難滅)
· 나 먹자니 싫고 남 주자니 아깝다.(我壓其餐予狗則?)
· 동생 줄 것은 없어도 도둑 줄 것은 있다.(無贈弟物有贈盜物)
· 봄비가 잦으면 마을 집지어미 손이 큰다.(婦子手?譬春?) 


· 종로에서 뺨 맞고 서빙고 가서 눈 흘기기.(頹批鍾路眼쵺氷庫)
· 계집의 매도 너무 맞으면 아프더라.(妻歐雖弄恒受則痛)
· 좋은 노래도 자주 들으면 싫다.(歌曲雖혙恒聽斯厭)
· 쓴 배도 맛 들일 탓.(彼苦者梨尙或味之)
· 말타니 경마 잡히고 싶다.(旣乘其馬又思牽者) 


· 내 배 부르니 종의 밥 짓지 말라네.(我腹旣飽不察奴飢)
· 열 손가락 깨물어 안 아픈 것 없다.(十指킂昨疇不予?)
· 나 부를 노래를 사돈집에서 부른다.(我歌將放婚家先唱)
· 되로 주고 말로 받네.(始用升授還茵受)
· 며느리가 미우니까 발 뒤축이 닭의 알같다.(婦無可短踵如鷄卵) 


· 드문드문 걸어도 황소 걸음.(緩驅緩驅杜牛之步)
· 며느리 자라 시어미 되니 시어미보다 더 하더라.(婦老爲姑摩不效尤)
· 없어 비단치마.(唯?無藏是以錦裳)
· 썩은 새끼로 범도 잡지.(索?爲줪尙或捕虎)
· 내가 기른 개 발 뒤꿈치 문다.(予所畜犬쨷樓我?) 


· 아니 땐 굴뚝에 연기 날까.(鋤苟不燃突豈生煙)
· 새벽 달 보자고 초저녁부터 기다려.(曉月之즰豈自昏候)
· 내 발등에 불 먼저 끈다.(膚爛之效吾先兒後)
· 바늘도둑 소도둑 되지.(竊鍼不休終必竊牛)
· 말많은 집안에 장이 쓰다.(甘言之家鼓味不嘉) 


· 고삐가 길면 뒤 된다.(厥죊太演從受一踐)
· 공든 탑이 무너지랴.(積之塔終古不큍큍)
· 돌로 치면 돌로 치고 떡으로 치면 떡으로 친다.
· 모밀떡 굿에 쌍 고치랴.(蕎餠賽祖安用二鼓)
· 슬인 춤에 지게 지고. 


· 없는 놈이 자두치떡 즐겨 한다.(升栗之?嗜此尺餌)
· 농사꾼이 굶어 죽어도 종자는 베고 죽는다.(農夫餓死枕厥種子)
· 남생이 등에 풀 쏘야기니만 하다.(靈龜之脊草?載?)
· 개도 무는 개를 돌아본다.(諸狗?後必顧?狗)
· 지렁이도 밟으면 꿈틀거린다.(相彼鯤踐之則蠢) 


· 새도 안는 대마다 깃이 든는다구.(鳥之所止有羽其委)
· 산밑집에 방아공이가 놀다구.(山下卜宅春杵難獲)
· 급히 먹는 밥이 목이 멘다.(??之食必咽其?)
· 작작 먹고 가는 똥누지.(些些之食可放纖失)
· 몸 보고 옷 짓고 꼴 보고 이름 짓지.(衣視其體名視其貌) 


· 눌 자리를 보고 발 뻗어라.(先視爾褥乃展厥足)
· 들으면 병이오 안들으면 약이라.(聞則是病不聞是藥)
· 말똥에 굴러도 이승이 좋다.(雖臥馬糞此生可願)
· 뒷 독에 바람 든다.(戱?甕風必來中諱)
· 동무 모르게 양식 내기.(諱出粮不算其糧暗) 


· 어둔 밤에 눈 꿈적이기로 누가 알꼬.(暗中瞬目誰知約束)
· 밤새도록 가도 문 못들기.(終夜馳奔不入其門)
· 배 먹고 이닦기.(啖梨之美兼以濯齒)
· 삼 정승부터 말고 내 한몸 위한다.(勿見三公護我一躬)
· 노닥 노닥해도 비단겔세.(襤褸襤褸猶然錦褸) 


· 아무리 바빠도 바늘허리 매어 쓰지 못한다.(雖有忙心錦不繫鍼)
· 내일 바바 한 데 방아.(緣我事急野쩳先穹)
· 내 칼도 남의 칼집에 들면 빼기 어려워.(我刀他쿛旣難掉)
· 새끼 둔 골은 범도 돌아본다.(留子之谷虎亦顧復)
· 수박 겉 핥기로.(西瓜外콝不識內美) 


· 눈 먼 소경더러 눈 멀었다하면 노하더라.(줥非不줥謂줥則怒)
· 호랑이 한테 개를 꾸어주고 받아 볼까.(狗貸虎狼豈望報償)
· 여름불도 쬐다 물러나면 섭섭하다.(五月炙火猶惜退坐)
· 무당이 제 굿 못하고 소경이 저 죽을 날 모른다.(巫不自祈鼓昧終期)
· 일가 싸움 개 싸움이니.(宗族之鬪不異狗鬪) 


· 개구리도 움추려야 뛰어간다.(蛙惟즾矣乃能躍矣)
· 검둥개 미역 감은 것같다.(烏狗之浴不變其黑)
· 소경 잠자나 아니 자나.(盲人之睡如寤如寤)
· 심사는 좋아도 동네집 불 붙는 것 보면 좋아하드라.(誰曰無情喜觀隣?)
· 콩 반머리만 한 것도 남의 목세지였는걸.(半菽孔碩他人所獲) 


· 오르기 어려운 나무 쳐다보지도 마라.(難升之未無然仰쿥)
· 밤잔 원수 없고 날샌 은혜 없다.(經夜無怨歷日無恩)
· 제 버릇 개 주지 않는다.(渠所習?不以予狗)
· 음식은 전하면 줄고 말은 전하면 는다.(饌傳愈減言傳愈濫)
· 눈만 감으면 코 베어 먹겠네.(瞬目不函或厥喪鼻) 


· 도적이 발 저리다.(盜之就掌厥足自麻)
· 도적을 뒤로 잡지 십으로 잡을까.(盜以後捉不以前捉)
· 굶으면 아낄 것 없어 퉁비단도 한끼란다.(飢無可?疋錦一餐)
· 벌거벗고 전동 찰까.(赤?之軀難佩繡葫)
· 소 잡은 터전은 없어도 밤 벗긴 자리는 있다구.(宰牛無贓剝栗難藏) 


· 단단한 땅에 물이 괴이느니.(行療之聚亦于硬土)
· 쇠 귀 경 읽기.(牛耳誦經可能諦聽)
· 말에게 실으려던 걸 벼룩의 등에 실어보게.(駟馬所載任蚤背)
· 저것든 놈도 나를 보면 타고 가려네.(視彼徒者見我騎馬)
· 자는 범 코 찌르기로.(虎之方睡莫觸其鼻) 


· 범도 제 소리하면 온다구 아무도 제 말하니까 오드라.(談虎虎至談人人至)
· 말 잃고 외양간 고친다.(旣喪其馬乃葺厥廐)
· 남의 잔치에 배 놓아라 감 놓아라.(他人之宴曰梨曰쳞)
· 개천에 내다버릴 종이 있어.(有溝?可棄奴僕避)
· 세우찌 난 절구에 손 들어갈 데 있다구.(數春之臼或納手) 


· 시앗 싸움에 돌부처도 돌아앉는다.(妻妾之戰石佛反面)
· 소경이 제 닭 잡아먹기.(줥者嗜?自攘厥鷄)
· 어린 아이도 괴이는 데로 간다.(孩雖向背趨其所愛)
· 떡도 떡이어니와 함이 더 조와.(餠固餠矣 盒兮尤美)
· 생마 갈기 외로 질찌 바로 질찌.(駒之方쫖左右難占) 


· 촌닭 관청에 드러오니가치.(村鷄入懸厥目先眩)
· 믿은 나무 곰팡이 핀다구.(恃爲良材乃發黴苔)
· 가난구제 나라도 어렵다지.(貧家之켵天子其憂)
· 나무에 잘 오르는 놈 떨어지고 헤엄 잘 치는 놈 빠져 죽는다.(善攀者落善첮者溺) 


· 성내어 바위를 차니 내 발부리 터졌다.(發怒蹴石我足其折)
· 끓는 국의 맛 모른다.(羹之方沸罔知厥味)
· 가마 밑이 노구 속 밑을 검다.(釜底쩬底煤不胥캛)
· 산 사람의 목구멍에 거미줄 치지 아니한다.(活人之?蛛不布網)
· 초록이 한 색이라고.(綠雖異纖終是一色) 


· 병신자식 효도한다.(彼?者子乃孝厥쯼)
· 솔개를 매로 보았지.(有鳶其騰我視作鷹)
· 음지에도 볕 들적 있지.(冽彼陰岡尙或回陽)
· 하날이 무너져도 솟아나갈 구멍이 있다는데.(天之方蹶牛出有穴)
· 하루 밤을 자도 만리성을 쌓는다구.(一夜之宿長城惑築) 


· 실 엉킨거는 풀어도 노 엉킨거는 못 푼다구.(絲芬或解繩亂弗解)
· 어느 구름에 비가 온다든고.(不知何終雲雨其云)
· 지상은 꼬챙이에 꽂아 고인정은 바리로 신는다구.(貢以串輸賂用?驅)
· 도래떡이 안밖이 없다구.(?퍛之餌安有表裏)
· 지 날개 사귀니.(豈與狗爭而往턎?) 


· 지킬 이 열이 도적할 놈 하나를 못당한다.(十人之守敵難一寇)
· 사귀어야 졀교하지.(本不結交安有絶交)
· 달면 삼키고 쓰면 배았는다구.(昔以甘茹今乃苦吐)
· 호초읜 이리 생귀 이것다.(全椒不末各不知辣)
· 강아지에게 조 멍석 맡긴 것 같다.(莫以狗子監此麴쳥) 


· 모난 돌이 정 맞는다구.(??者石陵者多觸)
· 내 코가 석자인데 남의 설움 어찌알고.(我涕三尺何知爾?)
· 무른 땅에 나무박고 재고리에 말뚝치기.(?地揷木灰펷建店)
· 지위가 높을수록 마음을 낮게먹어야.(位思其崇忘思其恭)
· 꿩대신에 닭으로 쓰지.(雉之未捕鷄自備數) 


· 왼통으로 생긴 놈 계집 자랑 반편으로 생긴 놈 자식자랑.(全癡誇妻半癡誇兒)
· 부부싸움은 칼로 물베기.(夫婦之칬如刀割水)
· 틈난 돌은 터지고 태먹은 독은 깨진다고.(驚紋裂石鳴聲破甕)
· 원살리 고공사리.(懸宰生活雇工生活)
· 열에 한 술 밥이 한 그릇 푼푼하다.(十飯一匙還成一飯) 


· 참새가 방아간을 그저 지나갈까.(未有瓦雀虛過雄閣)
· 생전의 빨래를 해도 발뒤꿈이 희어진다.(婢爲主澣亦白其?)
· 밤새도록 울다가 누가 죽었느냐구.(旣終夜哭問誰不祿)
· 왜 일랴 내게 무어 받을게 있나.(末有?쩰由不稱貸)
· 원님도 보고 완자도 탓다구.(我謁縣宰兼受縝貸) 


· 보기 좋은 떡은 먹기도 좋드라구.(觀美之餌쩒之亦美)
· 배 썩은 것 딸을 주고 밤 썩은 것 며느리 주더라.(梨腐子女栗巧子婦)
· 남의 떡에 스을 쇠엿네.(他人之餌聊樂歲始)
· 울지 않는 애기 젖 주든가.(不啼之兒其誰乳之)
· 미운 아이 먼저 안으라구.(予所憎兒先抱之懷) 


· 의붓 아비 아비라 할까.(匪我孤若豈父繼父)
· 번개가 잦으면 천둥하나니.(電光索索霹靂之兆)
· 처가집 말뚝에도 절하시네.(婦家情篤拜厥馬?)
· 한술 밥이 배부를까.(?食一匙不救腹飢)
· 군불때는 불에 우리 밥 짓자.(過火之焰我食可칏) 


· 세코집 신세 날이 좋다구.(扉旣草緯亦願草經)
· 이래라 저래라 이 자리에 춤추기 어려워.(莫仰幕府此筵難舞)
· 뒤간 갈 적 마음 다르고 올 적 마음이다.(上?而歸心異去時)
· 재는 넘을수록 험하고 내는 건널수록 깊다.(嶺踰越짷川涉越深)
· 어린애 가진 떡도 빼앗서 먹겠다.(誘彼幼子竊其?餌) 


· 닭 쫓던 개 지붕마루만 쳐다 본다.(?鷄之犬徒仰屋?)
· 개천에 용 난다든야.(末有?而産神쪠)
· 내 물건이 좋아야 값을 받지.(我有良貨乃求善價)
· 내 딸이 고와야 사위를 고른다.(腐者易?좿僧易擊)
· 뻗어가는 칡도 한이 있다.(葛之覃兮必有限兮) 


· 선무당 이름 새긴다구.(不馴之巫爀人虛無)
· 전투북에 춤을 춘다.(傳漏之鼓尙或?舞)
· 아는 도끼에 발등 찍는다.(慣熟之斧乃傷厥쯗)
· 미꾸라지 국먹고 룡트림헌다.(羹쾽泥鰍噫發騰?)
· 접시 밥도 담을 탓이다.(豆中之飯亶在盛限) 


· 네병은 낫든 아니낫든 네 약갑이나 갚아라.(爾病?泥否藥債宜報)
· 떼어 둔 당상 좀 먹을까.(摘置玉貫亘蝕或憚)
· 청국인지 쥐똥인지 모르고 덤빈다.(淸鼓鼠失辨彼此)
· 개발에 주석편자로구나.(唯彼狗足蹄鐵系錫)
· 코 아니 흘리고 유복하다.(鼻涕不流其福自優) 


· 철나자 망령 나느니.(其覺始矣老妄旋至)
· 떡살문물에 듕의 삼개조아.(?餠之水烹袴尤美)
· 어여쁜지 않은 색 달밤에 삿갓쓰고 나선다구.(醜女月夜載笠奚?)
· 시앗죽은 눈물이 눈가저리 젖었을까.(哭娟之淚豈有何憂)
· 땅 짚고 헤엄치기 무슨 걱정이야.(據地習첮更有何憂) 


· 대장장의 집에 식칼논다구.(鐵冶家世食刀乏些)
· 두꺼비 씨름 누가 질까 누가 이길까.(蟾之角紗疇勝疇底)
· 노루꼬리 길다하면 얼마나 길꼬.(獐尾日長幾許其長)
· 자라보고 놀란 놈이 솥뚜껑보고도 놀란다구.( 킧于鼈者尙驚鼎差)
· 죽이 풀어져도 솥안에 있다.(?粥雖解咸在鼎內) 


· 범벅에 꼬진 적 염예업다.(不托?箸斷斷無慮)
· 먹기는 발장이 먹고 뛰기는 말더러만 뛰란다.(撥長食之爾馬奚馳)
· 비지에 부른 배가 연약과 싫다구.(腹飽豆쮥??厭嚼)
· 고양이죽 쑤어 줄거 없고 새앙쥐 볼까 심할 것 없다.(無?猫鼻無퓒鼠햀)
· 살찐 놈더러 부었다구.(效彼肥壯쾪人膨脹) 


· 개쇠발괄 누가알고.(犬牛自活有誰存察)
· 행한 빈 집에 셔발막대 것찰 것 엄다.(?然穴室丈木無室)
· 잠결에 남의 다리를 긁었다.(睡餘爬錯正領之脚)
· 찬장 밑 헤쳐 숟가락 얻어.(饌廚之下得匙何者)
· 담배씨로 뒤웅을 파.(쪨種?乎彫匏庶줛) 


· 다시 긷지 않는다구 이 우물에.(謂不再?汗此舊井)
· 손에 붙은 밥 먹지 아니할까.(컖手之飯鮮不自嚥)
· 늙은 말 콩 더 달란다구.(老馬在?猶不辭豆)
· 죽은 자식 이 세어보기.(旣?之子胡算其齒)
· 네 배병 아니면 무슨 병이야.(匪伊腹疾息婦何病) 


· 빌어는 먹어도 다리 아래 소리 하기는 싫어.(雖則乞?猶然恥拜)
· 백지장도 맞들면 낫다구.(輕彼薄楮尙欲對擧)
· 한 말등에 두 안장 지울까.(一馬之背兩鞍難載)
· 구은 게도 다리를 떼고 먹는다구.(旣燔之?亦去其?)
· 울려고 할 때 치쟈기가치.(兒之將啼又批其햀) 


· 겟슐에 낫내기로.(母將社酒以悅吾友)
· 용수에 담은 찰밥도 엎지르기.(夢有쨬飯尙或覆之)
· 무쇠두멍을 쓰고 연못에 가 빠졌고.(蒙此鐵錡入于潭水)
· 게 잡으러 갔다가 구럭조차 잃었지.(我欲捉蟹쯂喪吾簞)
· 멧돗 잡으러 갔다가 집돗 잃었네.(遂彼山豕쯂失家?) 


· 여편네 헤프면 벌어들여도 시루에 물붓기.(妻迂財入譬彼甑汲)

 



※) 20200522_youtube.jpg 사자성어 성어TV성어낭독, 성어퀴즈



한국 Korea Tour in Subkorea.com Road, Islands, Mountains, Tour Place, Beach, Festival, University, Golf Course, Stadium, History Place, Natural Monument, Paintings, Pottery, K-jokes, UNESCO Heritage, 중국 Chin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J-Cartoons, 일본 Japan Tour in Subkorea.com Tour Place, Baduk,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History, Idioms, UNESCO Heritage, E-jokes, 인도 India Tour in Subkorea.com History, UNESCO Heritage, Tour Place, Golf Course, Stadium, University, Paintings,